'2015 한국직업전망' 발표, 10년 뒤 일자리 줄거나 늘어날 직업
박세령 기자
11,732
공유하기
|
'2015 한국직업전망'
'2015 한국직업전망'이 화제를 모으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은 10년 후 직업세계 트렌드를 예측하고 196개 국내 주요 직업의 일자리 증감 여부를 전망한 '2015 한국직업전망'을 발간했다고 21일 밝혔다.
'2015 한국직업전망'에 따르면 우리나라 196개 주요 직업 가운데, 10년 후 일자리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는 직업은 ▲증권 및 외환중개인 ▲용접원 ▲사진가 ▲상품판매원 ▲초중등 교사 등 32개이다.
반면 10년 후 지금보다 일자리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직업은 ▲행사기획자 ▲상담전문가 ▲산업안전 및 위험 관리원 ▲기계공학기술자 ▲응용소프트웨어개발자 ▲경영컨설턴트 등 96개로 나타났다.
10년 후에도 일자리가 유지될 직업은 ▲시각디자이너 ▲통신공학기술자 ▲투자 및 신용 분석가 ▲감정평가전문가 등 68개로 조사됐다.
또 한국고용정보원은 향후 10년간 우리나라 직업세계에 나타날 ’10대 트렌드’를 분석·발표했다.
'10대 트렌드'로는 ▲엔지니어 및 전문직의 고용 증가·전문화 ▲환경 및 신·재생에너지 관련 직종의 고용 증가 ▲창조산업 관련 직종의 고용 증가 ▲미용 및 건강 관련 직종의 고용 증가·전문화 ▲안전과 치안, 보안 관련 직종의 고용 증가 ▲개인서비스 및 반려동물 관련 직종의 고용 증가·전문화 ▲저출산 및 고령화에 따른 직업구조 변화 ▲온라인 거래 및 교류 방식의 확산에 따른 직업구조 변화 ▲기계화와 자동화에 따른 생산기능직 고용 감소 ▲3D직종의 근로자 고령화와 청년층 취업기피로 인력난 가중 등이 꼽혔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