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머니투데이 DB.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머니투데이 DB.


삼성이 ‘부드러운 승계(soft succession)’ 과정에 접어들었다고 영국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24일 보도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이날 ‘삼성: 부드러운 승계’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지난 15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삼성생명공익재단·삼성문화재단의 이사장에 선임된 것을 놓고 수개월 내로 삼성전자의 경영 책임을 맡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코노미스트는 또 이 부회장이 28년 전 이건희 회장의 취임 때보다 더 큰 과제를 안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회장의 경우 1987년 고(故) 이병철 창업주 별세 이후 2주 만에 그룹을 물려받았고 당시 어중간한 규모였던 삼성을 IBM이나 GE 같은 거인으로 키우겠다는 명확한 목표를 설정했고 그 결과 1993년 프랑크푸르트 선언을 내놨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잡지는 30여년후 세계 최대 전자 업체로 성장한 삼성의 ‘왕조승계 과정’에서 이 부회장이 사회공헌·문화예술지원 목적의 재단 이사장으로 취임한 것은 그의 이미지를 더 부드럽고 사색적인(reflective) 리더로 만드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해석했다.


이 부회장의 평가와 관련, 이코노미스트는 "그를 만나보면 낮은 자세에 놀라지만, 때로는 열정적이고 유쾌한 면모도 발휘된다"고 분석했다. 특히 자식처럼 여기는 바이오의약 신사업 쪽에선 통찰력을 엿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코노미스트는 이 부회장이 균형을 잡아야 할 세 가지 과제를 제시했다. 경쟁과 협력,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삼성의 한국적 뿌리와 글로벌한 미래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다.

하드웨어가 강점인 삼성, 그리고 하드웨어 엔지니어가 지배하는 기업 문화 속에서 스마트싱스(사물인터넷), 루프페이(모바일결제) 인수와 실리콘밸리 오픈이노베이션랩 건설은 삼성이 새로운 면모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했다.


삼성이란 조직은 직원들의 높은 충성도와 헌신적인 분위기가 강점이지만, 점점 다양한 배경들을 갖춘 임직원이 늘고 있어 이들을 잘 이끌어가기 위한 전략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