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 "세계유산 등재, 일본정부 책임 결코 가벼워지는 것 아니다"
박세령 기자
2,291
공유하기
![]() |
'일본 세계유산' /자료사진=YTN 뉴스 캡처 |
'일본 세계유산'
세계문화유산위원회는 일본 내 조선인 강제노동 근대산업시설 23곳을 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영록 수석대변인은 6일 오전 국회에서 브링핑을 갖고 이와 관련해 "세계유산에 등재됐다고 해서 일본정부와 전범기업의 책임이 결코 가벼워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수석대변인은 이날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이와 관련해 '전방위적 외교 노력이 이뤄낸 값진 성과'라고 자평한 것에 대해서는 "한 나라의 외교부 장관이 가진 상황인식이라고 하기에는 참으로 안일하고 단순하다"고 비판했다.
그는 "비록 일본 정부가 반대한 '강제징용' 사실을 명시하는 쪽으로 합의했다고 하지만 이는 뒤늦은 타협이었으며 뒷북 대응에 지나지 않는다"면서 "게다가 '강제징용' 명기가 현실화되기까지 아직 가야할 길이 멀고, 일본이 세계유산 등재 후속조치로 약속을 이행할지도 의구심이 든다"고 말했다.
그는 "실제로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결정되자마자 일본 외무상은 '조선인 강제노동을 인정한 것은 아니다'라고 주장하고 있다"며 "한국 정부는 '강제징용' 문구 하나 얻었다는 사실에 만족하며 외교적 성과로 자화자찬하는데 급급할 것이 아니라 피해자들의 끝나지 않은 고통 해결에 진지하고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