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지럼증(©이미지투데이)
▲어지럼증(©이미지투데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영양성 빈혈’에 대해 최근 5년간(2010~2014년)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 여성 진료인원 절반이 30~40대 여성으로 여름인 7~8월에 진료인원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9일 밝혔다.

또 고연령층은 최근 5년간 진료인원이 증가하는 추세로 적극적인 건강검진 등이 원인인 것으로 추정했다.


전체 영양성 빈혈 진료인원은 2010년 약 37만5000명에서 2014년 약 39만6000명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2만1000명(5.7%) 증가하여 연평균 증가율은 1.4%이며, 총진료비는 2010년 약 250억원에서 2014년 약 295억원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45억원(17.8%)이 증가하여 연평균 증가율은 4.2%를 보였다.
▲<영양성 빈혈> 연령별/성별 진료인원 및 점유율 (2010년~2014년, 연령별 점유율은 각 성별내에서의 점유율임)
▲<영양성 빈혈> 연령별/성별 진료인원 및 점유율 (2010년~2014년, 연령별 점유율은 각 성별내에서의 점유율임)
또 영양성 빈혈’ 진료인원 4명 중 1명은 40대이며, 대부분 여성 진료인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기준 연령구간별 진료인원은 40대 10만300명(25.7%), 30대 6만명(15.0%), 10세 미만 5만5000명(13.8%)의 순이었다.

‘영양성 빈혈’ 진료인원 대부분은 철결핍 빈혈로 임신, 출산, 월경 등으로 인해 여성 진료인원이 더 많은 것이 특징이며, 특히 30~40대 여성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한편 5년 전에 비해 진료인원이 가장 많이 증가한 구간은 70세 이상으로 이는 영양상태가 좋지 않다기보다는 오히려 과거에 비해 적극적인 검진이 원인으로 보인다. 고연령층의 빈혈은 위암, 대장암 등의 증상일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영양성 빈혈’은 적혈구 수치가 정상수치보다 낮아지는 ‘빈혈’의 일종으로 철, 비타민, 엽산 등의 영양소가 결핍되어 나타나는 질환이다.


가장 흔한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어지러움, 쇠약감, 창백한 피부 등이 있으며, 방치하게 되면 부정맥, 심부전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남성의 경우 10대가 되면서 철요구량이 감소하여 많지 않은 진료인원을 보이나, 여성은 월경, 임신, 출산 등으로 인해 폐경기까지 철 요구량이 증가하여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연령층에서는 위암, 대장암 등으로 인해 출혈이 발생하여 빈혈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영양성 빈혈’은 혈액검사 등으로 진단하게 되며, 치료방법은 철분, 비타민, 엽산을 보충제나 주사를 이용하여 보충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에 평소에 철분, 비타민, 엽산이 많이 포함된 음식물을 통해 섭취하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이다.

영양성 빈혈과 관련 각 영양소 섭취에 좋은 음식들(출처=국가건강정보포털)

철분
시금치와 다른 짙은 녹색의 잎채소, 땅콩, 땅콩버터, 아몬드, 달걀, 렌즈콩, 흰콩, 붉은콩 또는 구운 콩, 건포도, 건살구, 건 복숭아 같은 말린 과일, 자두 주스 등

비타민 C
키위, 망고, 살구, 딸기, 멜론, 수박, 브로콜리, 후추, 토마토, 양배추, 감자, 상추 같은 녹색 잎채소, 순무, 시금치 등

비타민 B-12
비타민이 강화된 아침식사용 시리얼, 육류(쇠고기, 쇠간, 가금류, 생선, 조개), 달걀과 유제품(우유, 요거트, 치즈) 같은 동물성 식품

엽산
엽산이 강화된 빵, 파스타, 쌀, 시금치, 다른 짙은 녹색 잎채소,
동부콩이나 말린 콩, 쇠간, 달걀, 바나나, 오렌지, 오렌지 주스, 다른 과일과 주스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