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산가리 6000배 독성' 협죽도, 경남 통영시 길가에 20년째 방치
문혜원 기자
7,195
공유하기
![]() |
'협죽도' /사진=한국학중앙연구원 |
'협죽도'
청산가리의 6000배 맹독을 품은 협죽도 100여그루가 경상남도 통영시내에 20년째 방치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협죽도는 개화 기간이 긴 데다, 공기정화기능까지 갖춰 가로수로 각광받았다. 하지만 잎과 줄기 등 나무 전체에 청산가리의 6000배 독성을 지닌 '라신'이 있어 주의가 요구됨에도 통영시는 작은 경고판만 설치했을 뿐이었다.
협죽도를 섭취하면 졸림과 근육 경련, 발작, 기절, 심지어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미량이라도 치사율이 높아 과거에는 독화살과 사약에 사용되던 독이다.
협죽도는 현재 통영 무전동 해안공원 일대에 군락을 이루며 자라고 있는 상태. 부산시는 2년 전 협죽도 1000그루를 잘라내기도 했다.
청산가리의 6000배 맹독을 품은 협죽도 100여그루가 경상남도 통영시내에 20년째 방치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협죽도는 개화 기간이 긴 데다, 공기정화기능까지 갖춰 가로수로 각광받았다. 하지만 잎과 줄기 등 나무 전체에 청산가리의 6000배 독성을 지닌 '라신'이 있어 주의가 요구됨에도 통영시는 작은 경고판만 설치했을 뿐이었다.
협죽도를 섭취하면 졸림과 근육 경련, 발작, 기절, 심지어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미량이라도 치사율이 높아 과거에는 독화살과 사약에 사용되던 독이다.
협죽도는 현재 통영 무전동 해안공원 일대에 군락을 이루며 자라고 있는 상태. 부산시는 2년 전 협죽도 1000그루를 잘라내기도 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