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해례본 이번엔 "왕실본", 진위공방 번질까
김수정 기자
5,919
공유하기
'훈민정음 해례본'
제3의 훈민정음 해례본이 등장해 이목을 집중시켰다.
서울 간송미술관에 있는 훈민정음 해례본(국보 70호)과 1조원의 가치가 있다는 경북 상주의 훈민정음 해례본 외에 또 다른 해례본이 나온 것이다. 이를 보관하고 있던 고서화 수집가 편영우(75)씨는 뉴시스를 통해 "상주본 사태를 보다 못해 세상에 공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난 16일 뉴시스는 편씨가 1986년 7월 일본 오사카 재판소(법원) 뒷골목의 골동품 상가에서 구입해 보관해 온 훈민정음 해례본을 보도했다. 이 매체에 따르면 이 해례본은 간송본·상주본과 다르게 1장의 낙장도 없는 완전한 상태다.
편씨는 "훈민정음, 기타 조선의 고서들 속에 섞여 있던 규장각 직인인 거북형 규장지보도 같이 샀다. 규장각은 조선왕실의 도서관이다. 이 훈민정음이 왕실본이라는 확실한 증거"라고 말했다.
하지만 대종언어연구소 박대종(52) 소장은 이 해례본이 서체와 표식 등을 지적하며 위작이라 판단했다.
그러나 박 소장의 감정은 진본으로 판정된 간송본을 근거로 삼은 것이라 이 때문에 '왕실본'이라고 주장하는 편씨의 해례본이 간종·상주본이 아닌 또 다른 판본일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 편씨는 "문화재청 등 중앙행정기관이 나서서 왕실본이 진본임을 밝혀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상주본을 보관 중인 배익기(52)씨는 문화재청에 1000억원가량을 주면 상주본을 내놓겠다는 입장을 고수해 눈길을 끈 바 있다.
제3의 훈민정음 해례본이 등장해 이목을 집중시켰다.
서울 간송미술관에 있는 훈민정음 해례본(국보 70호)과 1조원의 가치가 있다는 경북 상주의 훈민정음 해례본 외에 또 다른 해례본이 나온 것이다. 이를 보관하고 있던 고서화 수집가 편영우(75)씨는 뉴시스를 통해 "상주본 사태를 보다 못해 세상에 공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난 16일 뉴시스는 편씨가 1986년 7월 일본 오사카 재판소(법원) 뒷골목의 골동품 상가에서 구입해 보관해 온 훈민정음 해례본을 보도했다. 이 매체에 따르면 이 해례본은 간송본·상주본과 다르게 1장의 낙장도 없는 완전한 상태다.
편씨는 "훈민정음, 기타 조선의 고서들 속에 섞여 있던 규장각 직인인 거북형 규장지보도 같이 샀다. 규장각은 조선왕실의 도서관이다. 이 훈민정음이 왕실본이라는 확실한 증거"라고 말했다.
하지만 대종언어연구소 박대종(52) 소장은 이 해례본이 서체와 표식 등을 지적하며 위작이라 판단했다.
그러나 박 소장의 감정은 진본으로 판정된 간송본을 근거로 삼은 것이라 이 때문에 '왕실본'이라고 주장하는 편씨의 해례본이 간종·상주본이 아닌 또 다른 판본일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 편씨는 "문화재청 등 중앙행정기관이 나서서 왕실본이 진본임을 밝혀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상주본을 보관 중인 배익기(52)씨는 문화재청에 1000억원가량을 주면 상주본을 내놓겠다는 입장을 고수해 눈길을 끈 바 있다.
![]() |
교보문고가 복간한 '훈민정음' 해례본. /(사진자료)=교보문고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