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21개 그룹 중 절반만 '임금피크제' 도입
김진욱 기자
2,181
공유하기
![]() |
사진=뉴시스DB. |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삼성, 현대자동차, SK 등 국내 주요 21개 그룹 중 전계열사가 내년부터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는 곳은 절반격인 11곳에 그쳤다고 지적했다. 나머지 10개 그룹은 아직 노사 협상을 벌이고 있다.
20일 전경련이 발표한 '주요 21개 그룹 임금피크제 도입 현황'에 따르면에 따르면 전(全) 계열사가 내년부터 임금피크제를 도입키로 확정한 그룹은 삼성, LG, 롯데, 포스코 등 11개 그룹이다.
삼성그룹은 내년부터 모든 계열사가 임금피크제를 실시할 예정이다. LG그룹은 이미 모든 계열사가 임금피크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전자계열사는 정년을 기존 58세에서 60세로 상향할 예정이다.
롯데그룹은 롯데제과, 롯데홈쇼핑이 이미 시행 중이고 나머지 계열사는 내년부터 임금피크제를 시행하기로 합의했다. 포스코그룹은 포스코캠텍, 포스코 강판 등 일부 계열사에서 58세에서 60세로 정년 기준을 연장 적용하고, 내년까지 전 계열사로 임금피크제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 GS그룹은 GS칼텍스, GS리테일, GS홈쇼핑 등이 이미 임금피크제를 시행 중이며 내년부터 모든 계열사에 이를 도입할 예정이다.
반면 현대자동차, SK 등 10개 그룹은 모든 계열사에서 임금피크제를 시행하고자 아직 노사가 협의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SK그룹은 SK텔레콤, SK하이닉스, SKC, 워커힐 등 대부분의 계열사에서 이미 임금피크제를 도입했고, 나머지 계열사들은 연내 도입을 협의 중이다.
현대중공업그룹 계열사 중 조선 3사(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는 임금피크제를 시행 중이며, 나머지 계열사는 시행 협의 중이다. 한화그룹은 한화, 한화케미칼, 한화첨단소재 등 21개 계열사는 내년부터 임금피크제를 실시할 계획이고, 나머지 계열사는 노사가 협상 중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