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경기지표·유통주 실적 부진… 3대 지수 1%대↓
장효원 기자
2,294
공유하기
![]() |
뉴욕증시. /사진=머니투데이 DB |
13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스탠다드앤푸어스(S&P)500지수는 전날보다 22.93포인트(1.12%) 하락한 2023.04를 기록했다. 다우존스산업평균 지수는 202.83포인트(1.16%) 내린 1만7245.24로 마감했다. 나스닥 지수는 77.20포인트(1.54%) 떨어진 4927.88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뉴욕 증시는 전날 장 마감 이후 발표된 기업들의 실적이 부진하면서 일제히 하락 출발했다. 여기에 미국 경제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소비 지표가 기대에 못 미친 것도 악재로 작용했다.
미국 상무부는 10월 미국의 소매판매가 전월대비 0.1% 증가했다고 이날 밝혔다. 이는 9월 수정치 기록(보합)보다 양호하지만 시장 예상치(0.3% 증가)에는 못 미치는 수준이다. 세부항목 가운데 자동차판매가 0.5% 줄었다. 직전월에는 1.4% 증가했었다.
10월 핵심 소매판매(자동차, 휘발유, 건축자재, 식품 제외)는 0.2% 증가했다. 이는 9월의 수정치 기록인 0.1% 증가를 웃돈다. 휘발유가격 하락에 따른 비용절감분이 지난 1년간 급등한 집세를 내는 데 주로 쓰이면서 소비증가로 이어지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예상보다 큰폭 떨어지며 2개월째 하락했다. 달러 강세와 글로벌 수요 위축이 물가 하락압력을 가중시켰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 노동부는 10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대비 0.4% 하락(계절조정치)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미국의 소비심리는 저금리와 낮은 상품 가격에 힘입어 시장 예상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시간대는 11월 미국의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가 93.1을 기록했다고 이날 발표했다. 이는 지난달 확정치인 90.0을 크게 넘어선 것으로 4개월 래 최고치다. 전문가들은 11월 소비자심리지수가 91.5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었다. 미국 가계의 살림살이에 대한 전망이 지난달보다 좋아졌다는 의미다.
한편 국제 금값은 달러 강세 영향으로 5년 8개월 만에 최저 수준을 또 다시 갈아치웠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국제 금 가격은 전날보다 온스당 0.1달러 하락한 1080.90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2010년 2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