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형간염 집단발병'

서울시 양천구 소재 A의원에서 발생한 C형간염 집단 감염자가 총 45명으로 늘었다. 처음 보건당국이 18명이 발생했다고 밝혔던 이틀 전에 비해 27명이 늘어난 것이다. 27명 모두 20일 오후부터 진행된 양천구보건소 바이러스 항체검사를 통해 보균자임을 처음 알게 됐다.


22일 보건당국은 A의원의 수액제재 처방(정맥주사용 의약품 혼합제재) 등과 관련한 처치 과정에서 혈류감염이 발생했을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다. 특히 A의원은 피로회복과 감기, 비만 등 치료를 위한 주사제를 투여해온 것으로 나타났다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이에 당국은 주삿바늘 재사용 의혹과 함께 기본적인 수액제와 영양제 혹은 비만치료를 위한 주사제 혼합과정에서 관리 부실 문제도 함께 염두하고 있다. 보건당국 관계자는 “해당 의원은 수액제를 포함해 4~5가지 주사제를 혼합해 사용해온 것으로 알려졌다”고 밝혔다.


A의원이 2008년 5월 문을 연 이후 이용자는 2269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200명이 22일 오후까지 양천구보건소로부터 채혈검사를 받았고 총 45명이 보균자임이 확인됐다. 모두 환경검체와 인체검체 일부에서 동일한 유전형(1b형)의 C형간염 바이러스가 확인됐다.

질병관리본부가 2차로 이에 대한 유전자 RNA 검사를 진행, 총 15명에 C형간염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돼 곧바로 치료가 필요한 상황이다. 아직 2차 검사가 진행 중이지만, 사실상 보균자와 감염자의 큰 차이는 없다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현재까지 중증 합병증 사례는 없었다.


한편 지난 20일 질병관리본부와 서울특별시 양천구는 양천구의 A의원 내원자 중 C형간염 감염자 18명이 확인됨에 따라 역학조사와 방역조치에 착수했다. 익명의 제보자를 통해 신고가 이뤄진 가운데, 현재까지 발생한 C형간염 감염자 45명 중 3명은 원장의 아내와 의원 종사자 2명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