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다리기 유네스코’

문화재청은 아프리카 나미비아의 빈트후크에서 열린 유네스코 제10차 무형유산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에서 우리나라가 베트남, 캄보디아, 필리핀과 함께 신청한 '줄다리기'를 인류무형문화유산에 공동등재하기로 결정했다고 2일 밝혔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은 모두 18개로 늘어났다.


우리나라 인류무형문화유산은 이번에 등재 결정된 줄다리기를 비롯해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2001), 판소리(2003), 강릉단오제(2005), 남사당놀이, 강강술래, 영산제, 제주칠머리당영등굿, 처용무(2009), 가곡, 매사냥, 대목장(2010), 줄타기, 한산모시짜기, 택견(2011), 아리랑(2012), 김장문화(2013), 농악(2014) 등 18개다.

무형유산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 위원국들은 한국, 베트남, 캄보디아, 필리핀 등 아태지역 4개국이 협력하여 공동 등재로 진행한 점과 풍농을 기원하며 벼농사 문화권(도작문화권)에서 행해지는 대표적인 전통 문화 중 하나인 ‘줄다리기’의 무형유산적 가치 등을 높이 평가하였다.


이번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줄다리기에는 영산줄다리기, 기지시줄다리기 등 국내 전통 줄다리기 관련 총 6건의 국가 지정과 시도 지정 무형문화재가 포함됐으며, 문화재청과 당진, 영산 등 관련 지방자치단체는 줄다리기의 체계적인 보존과 전승을 위한 계획을 수립·시행해 나갈 예정이다.

문화재청과 이번 ‘줄다리기’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계기로 줄다리기를 세계인이 함께 관심을 갖고 보존, 활용할 수 있게 돼 우리 문화유산의 세계화와 문화강국으로서의 국가 이미지 제고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줄다리기 유네스코' /자료사진=뉴시스
'줄다리기 유네스코' /자료사진=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