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폐소생술 가이드 개정, '가슴 압박'만 하세요
서대웅 기자
24,979
공유하기
‘심폐소생술 가이드’
일반인이 심장정지 환자를 목격하면 앞으로 ‘가슴압박 소생술’(CPR)만 실시하도록 하는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이 새롭게 개정된다.
과거의 가이드라인은 기도 확보(A) 이후 호흡(B), 가습압박(C) 순이었지만 이후 심박출량이 없는 상태에서 호흡이 큰 의미가 없다는 점에 C-A-B 순으로 바뀐 바 있다. 기도 확장보다 심장압박을 먼저 진행하는 것이 생존율을 훨씬 높인다는 연구결과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앞으로 일반인에 대해선 가슴압박 소생술만 실시하도록 가이드라인이 바뀐다. 가슴압박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 내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한 방침으로 풀이된다.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양병국)와 대한심폐소생협회(이사장 김성순)는 오늘(4일) 건국대학교 새천년관에서 이 같은 내용의 ‘2015년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개정․보급을 위한 심포지움’을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
개정된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가슴압박의 깊이는 영아의 경우 4cm, 소아 4~5cm, 성인 약 5cm(최대 6cm는 넘기지 않게)로 한다. 압박 속도는 성인과 소아에 대해 분당 100~120회로 하고 심폐소생술 중단은 10초 이내로 최소화했다. 이는 심폐소생술 국제연락위원회가 5년 주기로 최신 연구결과 및 현장경험을 반영해 공표한 가이드라인에 따른 것이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심장정지 환자에게 골든타임(약 5분)내 신속한 응급처치가 중요하다”며 “일반인 목격자의 올바르고 빠른 심폐소생술 시행 및 병원단계에서의 전문적 심장정지 치료가 조화롭게 이뤄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이번 가이드라인 개정 취지를 설명했다.
개정된 2015년 한국형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은 마무리 작업을 거쳐 내년 2월 중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www.cdc.go.kr)를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 |
‘심폐소생술 가이드’ 지난달14일 전북 전주시 전주생명과학고등학교 강당에서 열린 '2015 응급처치 경연대회'에서 참가선수들이 심폐소생술 실기경연을 하고 있다. /자료사진=뉴스1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