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대교 통제 언제까지? 주탑 교량케이블서 화재 발생
김수정 기자
4,910
공유하기
'서해대교 사고' '서해대교 통제' '서해대교 화재'
서해대교 주탑 꼭대기 근처 교량케이블에서 화재가 발생해 소방관 1명이 숨지고 2명이 부상당했다.
지난 3일 오후 6시 10분쯤 평택시 서해대교 목포방면 행담도 휴게소 2㎞ 전방 주탑에 연결된 교량케이블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불이 났다.
경기도재난안전본부는 소방관 60여명, 장비 20여대 등을 현장에 투입해 진화에 나섰고, 이 과정에서 평택소방서 이병곤 포승안전센터장(소방경·54)이 끊어진 케이블에 맞아 숨졌다.
근처에 있던 소방관 2명도 다쳐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부상이 심하지 않아 센터로 복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180여m 높이의 주탑 꼭대기 근처에서 불이나 소방관이 올라가기 어려웠으며 강풍 탓에 헬기를 동원할 수도 없는 상황이었다.
이에 소방관들이 서해대교 주탑 외부계단을 통해 직접 불이 난 곳으로 접근해 진화 작업을 벌이면서 진화에는 3시간 30분이 소요됐다. 경찰은 낙하물 잔해를 제거하기 위해 고속도로 양방향 차량 통행을 전면 통제했다. 이 화재로 오늘(4일) 오전 서해대교 해당 구간에 출근길 교통 혼잡이 빚어지기도 했다.
한편, 한국도로공사는 이번 화재가 낙뢰에 의한 것으로 보고, 케이블 1개가 끊어지고 2개가 손상된 만큼 정밀 안전 점검을 통해 통행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돼야 통행을 재개한다는 방침이다.
서해대교 주탑 꼭대기 근처 교량케이블에서 화재가 발생해 소방관 1명이 숨지고 2명이 부상당했다.
지난 3일 오후 6시 10분쯤 평택시 서해대교 목포방면 행담도 휴게소 2㎞ 전방 주탑에 연결된 교량케이블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불이 났다.
경기도재난안전본부는 소방관 60여명, 장비 20여대 등을 현장에 투입해 진화에 나섰고, 이 과정에서 평택소방서 이병곤 포승안전센터장(소방경·54)이 끊어진 케이블에 맞아 숨졌다.
근처에 있던 소방관 2명도 다쳐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부상이 심하지 않아 센터로 복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180여m 높이의 주탑 꼭대기 근처에서 불이나 소방관이 올라가기 어려웠으며 강풍 탓에 헬기를 동원할 수도 없는 상황이었다.
이에 소방관들이 서해대교 주탑 외부계단을 통해 직접 불이 난 곳으로 접근해 진화 작업을 벌이면서 진화에는 3시간 30분이 소요됐다. 경찰은 낙하물 잔해를 제거하기 위해 고속도로 양방향 차량 통행을 전면 통제했다. 이 화재로 오늘(4일) 오전 서해대교 해당 구간에 출근길 교통 혼잡이 빚어지기도 했다.
한편, 한국도로공사는 이번 화재가 낙뢰에 의한 것으로 보고, 케이블 1개가 끊어지고 2개가 손상된 만큼 정밀 안전 점검을 통해 통행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돼야 통행을 재개한다는 방침이다.
![]() |
지난 3일 저녁 경기도 평택시 서해대교 목포방면 행담도 휴게소 2km 전방에서 주탑에 연결된 철선 한 개가 끊어지며 화재가 발생했다. 양방향이 전면통제된 4일 오전 경찰, 소방 등 관계자들이 화재 감식 및 안전점검을 하고 있다. 이 화재로 소방관 1명이 순직하고 2명이 부상을 입었다. /사진=뉴스1 이재명 기자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