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과자 성분표시, 포화·트랜스지방 초과 검출… 아시아 국가서 수입된 제품 표시 위반율 높아
김수정 기자
2,358
공유하기
'수입과자 성분표시'
최근 저렴한 가격과 다양한 제품군을 앞세운 수입과자의 판매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제품은 영양성분 표시가 실제와 달라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8일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은 시중 유통 중인 수입과자 60개 제품을 시험 검사한 결과, 9개 제품(15.0%)은 비만과 각종 성인병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포화·트랜스지방이 제품에 표기된 함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개 중 8개 제품(13.3%)은 포화지방이 표시된 함량을 초과했고, 특히 4개 제품은 함량을 '0g'으로 표시하고 있었으나 실제로는 1회 제공량 당 최소 2.07g에서 최대 12.32g의 포화지방이 포함돼 있었다.
포화·트랜스지방이 표시보다 초과 검출된 제품은 아시아 국가에서 수입된 제품 34개 중 8개 제품(23.5%), 미주·유럽에서 수입된 제품 26개 중 1개 제품(3.8%)으로 상대적으로 아시아 국가에서 수입된 과자류의 표시 위반율이 높았다.
수입과자는 수입신고 단계에서 타르색소·산가·인공감미료 등 중점검사 항목 위주로 관리되고 있어 영양성분 표시가 잘못된 제품이 수입·유통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영양성분 표시는 소비자의 건강을 위한 알권리·선택할 권리 보장을 위한 제도이므로 수입 식품에 대해서도 표시 관리를 강화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영양성분 표시위반 수입업자에게 해당 제품의 자발적 회수 및 표시사항 개선을 촉구하여 이미 조치가 완료됐고, 식품의약품안전처에는 수입과자(식품) 영양성분 표시관리 강화 등을 요청할 계획이다.
최근 저렴한 가격과 다양한 제품군을 앞세운 수입과자의 판매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제품은 영양성분 표시가 실제와 달라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8일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은 시중 유통 중인 수입과자 60개 제품을 시험 검사한 결과, 9개 제품(15.0%)은 비만과 각종 성인병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포화·트랜스지방이 제품에 표기된 함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개 중 8개 제품(13.3%)은 포화지방이 표시된 함량을 초과했고, 특히 4개 제품은 함량을 '0g'으로 표시하고 있었으나 실제로는 1회 제공량 당 최소 2.07g에서 최대 12.32g의 포화지방이 포함돼 있었다.
포화·트랜스지방이 표시보다 초과 검출된 제품은 아시아 국가에서 수입된 제품 34개 중 8개 제품(23.5%), 미주·유럽에서 수입된 제품 26개 중 1개 제품(3.8%)으로 상대적으로 아시아 국가에서 수입된 과자류의 표시 위반율이 높았다.
수입과자는 수입신고 단계에서 타르색소·산가·인공감미료 등 중점검사 항목 위주로 관리되고 있어 영양성분 표시가 잘못된 제품이 수입·유통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영양성분 표시는 소비자의 건강을 위한 알권리·선택할 권리 보장을 위한 제도이므로 수입 식품에 대해서도 표시 관리를 강화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영양성분 표시위반 수입업자에게 해당 제품의 자발적 회수 및 표시사항 개선을 촉구하여 이미 조치가 완료됐고, 식품의약품안전처에는 수입과자(식품) 영양성분 표시관리 강화 등을 요청할 계획이다.
![]() |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