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할머니 회견'

한일 양국간 외교장관 회담을 통해 위안부 문제를 전격 합의했지만 정작 당사자인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목소리가 빠져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지난 28일 개최된 한일 양국간 외교장관 회담을 통해 양국간에 오래된 앙금으로 남아있던 위안부 문제를 전격 합의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이날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과 1시간여에 걸친 회담 끝에 일본 정부로부터 사죄와 반성을 이끌어 냈다. 하지만 법적인 명문화가 된 것이 아닌 데다가 소녀상 이전 문제 등이 계속 남아있다.

또 회담 직후 위안부 문제에 대해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우리 아들이나 손자들에게 계속 사죄를 할 숙명을 지워선 안 된다"고 말해 피해할머니들에 대한 사과와 인권 회복보다는 과거 지우기에 더욱 골몰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같은 내용에 대해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은 서운한 감정을 숨기지 않았다. 특히 협상 과정에서 양국 정부 관계자는 단 한번도 피해 당사자인 할머니의 의사를 묻지 않은 점도 할머니들이 이번 회담 결과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이유다.

이용수 할머니(88)는 이날 오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늘의 결과에 대해 전부 무시하겠다"며 "조금도 피해자 할머니들을 위한 것이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윤미향 정대협 상임대표 역시 "'대독사과'에 그쳤고 사과의 대상도 너무나 모호해서 진정성이 담긴 사죄라고 도저히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안신권 나눔의 집 소장은 이날 협의를 "정치적 야합"이라고 규정하고 "협의 과정에서 할머니들의 의견은 무시됐다"면서 한계를 지적했다.


위안부 피해 할머니 49명이 거주하고 있는 경기도 광주의 나눔의집은 할머니의 의견들을 취합해 한일 양국합의문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발표할 예정이다.

'위안부 할머니 회견' 윤병세 외교부 장관(오른쪽)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 /사진=임한별 기자
'위안부 할머니 회견' 윤병세 외교부 장관(오른쪽)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 /사진=임한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