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서비스 평가'

울산과 서울이 국내에서 의료서비스의 질이 가장 좋은 반면, 광주와 전남은 최하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하 보사연)의 '2015 한국 의료 질 보고서'(임연구자 강희정 연구위원)에 따르면, 울산은 의료 질 평가에서 100점 만점에 68.0점을 받아 광역 시도 중 1위를 기록했다. 이어 서울이 67.3점, 부산 67.2점이었다.

특히, 울산은 환자 안전(91.3점·1위), 적시성(100점·1위), 의료접근도(100점·1위) 범주에서 특히 높은 점수를 받아 종합 점수에서 1위를 차지했다. 서울은 효율성(75.9점·2위), 환자 안전(81.9점·4위), 적시성(95.9점·4위), 환자 중심성(83.5점·4위) 등에서 전반적으로 좋은 점수를 얻었다. 부산은 의료연계(100점·1위), 시스템 인프라(84.0점·1위), 환자 안전(88.1점·2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와 달리 최하위권인 광주(43.7점)는 적시성과 환자중심성이 최하점을 기록했으며 전남(49.2점)은 효율성, 의료 연계에서 특히 점수가 낮았다. 제주(49.5점) 역시 시스템 인프라, 효과성, 의료연계, 환자중심성, 효율성에서 낮은 점수를 얻었고, 충남(49.3점)은 의료접근도, 환자안전, 효율성에서 점수가 깎였다.


보사연은 ▲의료 효과성(질병의 예방치료 결과) ▲환자 안전(환자 위험·위해 최소화) ▲적시성(지연·대기 시간 감소) ▲환자 중심성(환자의 선호·가치 존중) 등 8개 범주 153개의 지표를 통해 각 지역의 의료 서비스의 질을 평가했다. 평가에는 국립암센터(암 등록 통계), 통계청(사망원인 통계), 질병관리본부(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사평가 결과), 국민건강보험공단(건강보험 표본데이터) 등 다양한 기관의 방대한 자료가 활용됐다.

보고서는 "하위권에 있는 지역들은 수도권에서 멀고 지역이 흩어져 있는 곳이거나 충남처럼 수도권에 인접해 있어 환자 유출이 많은 곳"이라며 "지역별 강점영역과 취약영역을 지역사회단위 의료 질 향상 전략 추진 근거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김상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장이 지난해 10월 19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시안 공청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김상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장이 지난해 10월 19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시안 공청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