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톨링시스템 도입, 중간 정산 요금소 20곳 폐쇄… '정차 불편' 사라진다
김수정 기자
2,180
공유하기
'원톨링시스템 도입'
한국도로공사가 운영하는 고속도로에 원톨링시스템이 도입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0일 고속도로와 민자고속도로가 만나는 중간 정산 요금소 20곳을 없애고 차량번호 영상인식시스템을 설치한다고 밝혔다. 이어 하이패스 없는 차량이 통행료를 한 번만 내면 되는 원톨링시스템을 올해 중 도입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기존에는 하이패스 장착 차량이 고속도로와 민자고속도로를 이용할 경우, 각 구간 요금소마다 통행료를 지불해야했다.
원톨링시스템이 도입되면 마지막 요금소에서만 통행료를 내게 된다. 재정고속도로와 민자고속도로가 만나는 중간정산 요금소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하이패스가 장착된 차량을 이용해 재정고속도로와 민자고속도로를 연이어 타는 경우 통행료가 각 요금소에서 자동으로 계산된다. 하지만 하이패스를 장착하지 않은 차량은 통행료를 납부하기 위해 요금소마다 정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원톨링시스템이 도입되면 목적지 요금소에서 한 번만 통행료를 내면 된다.
핵심은 영상인식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을 이용해 해당 차량의 이동경로를 파악한 뒤 도로공사와 고속도로 운영사가 운전자가 낸 돈을 나눠갖게 된다. 운영사간 요금 정산은 주 단위로 이뤄질 계획이라는 것이 국토부의 설명이다.
이 시스템은 재정고속도로와 민자고속도로가 연결된 전국 모든 고속도로 구간에 적용된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천안~논산 ▲대구~부산 ▲서울~춘천 ▲서수원~평택 ▲평택~시흥 ▲부산~울산 등 6개 고속도로와 건설되고 있는 ▲광주~원주 ▲옥산~오창 ▲상주~영천 고속도로 등이다.
시스템이 도입되면 천안~논산 고속도로의 풍세요금소와 남논산요금소, 대구~부산 고속도로의 김해부산요금소 등 총 20곳의 중간정산 요금소가 사라진다.
한국도로공사가 운영하는 고속도로에 원톨링시스템이 도입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0일 고속도로와 민자고속도로가 만나는 중간 정산 요금소 20곳을 없애고 차량번호 영상인식시스템을 설치한다고 밝혔다. 이어 하이패스 없는 차량이 통행료를 한 번만 내면 되는 원톨링시스템을 올해 중 도입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기존에는 하이패스 장착 차량이 고속도로와 민자고속도로를 이용할 경우, 각 구간 요금소마다 통행료를 지불해야했다.
원톨링시스템이 도입되면 마지막 요금소에서만 통행료를 내게 된다. 재정고속도로와 민자고속도로가 만나는 중간정산 요금소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하이패스가 장착된 차량을 이용해 재정고속도로와 민자고속도로를 연이어 타는 경우 통행료가 각 요금소에서 자동으로 계산된다. 하지만 하이패스를 장착하지 않은 차량은 통행료를 납부하기 위해 요금소마다 정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원톨링시스템이 도입되면 목적지 요금소에서 한 번만 통행료를 내면 된다.
핵심은 영상인식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을 이용해 해당 차량의 이동경로를 파악한 뒤 도로공사와 고속도로 운영사가 운전자가 낸 돈을 나눠갖게 된다. 운영사간 요금 정산은 주 단위로 이뤄질 계획이라는 것이 국토부의 설명이다.
이 시스템은 재정고속도로와 민자고속도로가 연결된 전국 모든 고속도로 구간에 적용된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천안~논산 ▲대구~부산 ▲서울~춘천 ▲서수원~평택 ▲평택~시흥 ▲부산~울산 등 6개 고속도로와 건설되고 있는 ▲광주~원주 ▲옥산~오창 ▲상주~영천 고속도로 등이다.
시스템이 도입되면 천안~논산 고속도로의 풍세요금소와 남논산요금소, 대구~부산 고속도로의 김해부산요금소 등 총 20곳의 중간정산 요금소가 사라진다.
![]() |
'원톨링시스템 도입' /사진=뉴스1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