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바꾸는 기술] 드론 타고 ‘세계의 한국’ 알리다
김노향 기자
11,645
공유하기
편집자주
<머니위크>는 CES 2016에서 주목받은 핵심기술을 중심으로 미래산업분야를 집중 조명했다. 세상을 놀라게 할 인공지능, 현실과 가상세계가 공존하는 증강현실, 무엇이든 찍어내는 3D프린터, 최첨단을 달리는 스마트카, 똑똑한 생활을 도와주는 IoT 등. 해당 분야 기술력이 어디까지 왔는지 살펴보고 국내기업의 수준을 가늠해봤다.
“자동차처럼 드론도 우리 생활 깊숙이 들어올 것입니다. 1인1드론 시대도 올 거고요. 인간의 시야를 넓혀주고 물리적 이동성을 향상해주며 배송이나 대중교통, 마케팅, 탐사, 예술·공연, 감시정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전망입니다.”
지난 6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의 컨벤션센터 사우스홀. 세계 최대 규모의 IT전시회인 ‘CES 2016’에 손바닥만한 크기의 비행로봇(드론)이 날아올랐다. 세계 각국에서 몰려든 27개 드론업체 중 12개가 중국기업. 이곳에 뛰어든 한국기업은 단 한곳뿐, 바로 소형드론을 생산하는 강소기업 바이로봇이다.
홍세화 바이로봇 전략기획이사(33·사진)는 2011년 바이로봇을 세운 창업자다. 28세의 젊은 나이에 만든 작은 회사의 로봇이 현재 미국, 일본, 영국 등 세계 각국으로 팔리고 있다.
![]() |
/사진제공=바이로봇 |
◆한국서 날아온 드론, 자동차 변신도 가능
바이로봇의 드론은 지난해 국내기업으로는 유일하게 CES에 참가했다. 올해 CES에서도 드론분야에 참가한 유일한 한국기업이었다.
바이로봇의 드론은 게임용으로 개발됐다. 2013년 국내시장에 첫선을 보인 ‘드론파이터’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배틀(battle)기능을 탑재했다. 개인전뿐 아니라 2대2나 3대3의 팀 게임이 가능하다. 한 오프라인 모임에서 40대의 드론파이터들이 두 팀으로 나뉘어 경기를 진행하는 모습은 마치 ‘우주전쟁’의 한 장면을 보는 듯하다.
“미사일을 한 대 맞을 때마다 조종기가 진동하고 불빛으로 위험상황이 전달됩니다. 게임플레이어와 일반관람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스포츠의 한 분야로 발전시키기 위해 중계시스템을 개발했죠. 아무리 뛰어난 기술이나 제품도 시장이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좋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소비자가 찾는 기술을 집중 육성할 필요가 있어요. 저는 바이로봇의 드론을 전세계인이 사용하도록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드론파이터는 에너지 잔량과 미사일 종류 등 플레이어의 상태를 모니터상으로 보여준다. 이 드론을 이용한 배틀시스템과 중계시스템은 현재 특허로 보호받는다.
“다이내믹한 비행게임을 위해서는 성능이 좋아야 합니다. 조종자의 의도대로 민첩하게 움직일 수 있어야 다양한 전략이 나오거든요. 바이로봇의 시스템은 안정적인 비행게임을 위해 최적화됐습니다. 모든 비행체는 추락의 위험이 늘 존재합니다. 산업용 드론을 개발할 당시 가장 중요하게 여겼던 부분 중 하나가 높은 내구성과 고장 시 편리한 유지 보수예요. 이 부분을 드론파이터에 적용해 핵심부품을 모듈화하고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디자인했습니다.”
CES 2016에서 처음 선보인 페트론(PETRONE)은 기존 드론파이터의 기능에 최신기술을 접목했다. 사용자가 더 쉽게 조종이 가능하도록 자동정지비행(Auto Hovering) 기능을 추가해 게임에 더욱 집중하도록 한 것. 자동정지비행이란 드론을 조종자의 조작 없이 지정한 위치에 떠있게 하는 기술. 드론의 기술력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다.
초소형비행체 중 이 같은 자동정지비행 기능을 실내에서 구현한 경우는 거의 없다는 게 홍 이사의 설명이다. 또 별도의 조종기 없이 스마트폰으로 조종하는 것이 가능해 일반고객도 접근하기가 수월해졌다. 음성인식과 패턴비행, 드론에서 자동차로 변신하는 기능도 다양한 재미를 제공한다. 이번 CES에서 바이로봇은 방문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부스를 마련해 인기를 모았다.
![]() |
드론. /사진제공=바이로봇 |
![]() |
드론리모컨. /사진제공=바이로봇 |
◆미술·음악에 관심… 28세 스타트업 창업
홍 이사는 어린 시절 사업했던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창업에 관심이 많았다. “학창 시절 미술과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이 있었습니다. 목회자의 길을 고민하기도 했죠. 즐겁게 보냈던 날들이 아마 사업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 것 같습니다.”
홍 이사는 국가출연 비행로봇팀 출신 연구원으로서 28세에 스타트업을 세웠다. 연구원 시절 쿼드콥터(프로펠러 4개를 사용한 헬리콥터) 등 다양한 산업용 드론을 개발했다. 당시 국내에서 처음으로 덕티드팬(Ducted fan) 유형의 드론을 개발해 자율비행에 성공했다. 드론의 핵심기술인 비행제어, 무선통신, 데이터 처리 등 소프트웨어분야의 기술도 경험했다.
드론파이터는 2년간의 기술개발과 상품화 작업을 거쳐 2013년 말 출시 후 2014년 7억5000만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또 해외시장을 개척해 미국, 일본, 영국, 러시아, 호주에서 판매되고 있다. 현재 미국의 베스트바이, 월마트, 토이저러스와 공급계약을 추진 중이다. 일본의 장난감업체 반다이남코와는 이미 총판계약을 맺었고 지난해 7월 첫 납품을 완료했다.
해외수출길이 열리면서 지난해 매출은 1년 만에 100% 이상 성장한 약 17억원을 달성했다. 드론파이터는 약 300개 학교에서 교보재로 사용된다. 교육시장 확대에 힘입어 올해 매출은 50억원 이상을 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홍 이사는 인공지능(AI), 무선통신, 빅데이터, 센서융합 등 로봇기술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며 드론에 곧 적용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 로봇산업 전체를 논하기에는 아직 많이 이릅니다. 드론산업은 국가 차원에서 핵심기술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제 판매되고 시장을 형성할 수 있는 제품에 많은 투자가 이뤄지면 좋겠습니다.”
☞ 본 기사는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제419호에 실린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노향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재테크부 김노향 기자입니다. 투자와 기업에 관련한 많은 제보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