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 국어사전 '조선말 큰사전' 편찬과정, 한눈에 본다
김수정 기자
5,538
공유하기
일제강점기에 작성된 최초의 우리말 대사전인 '조선말 큰사전'의 편찬 과정이 담겨 있는 편찬원고가 복원됐다.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원장 이상진)은 조선말 큰사전 편찬원고 17권 중 훼손이 심한 '여'편과 'ㅎ'편 등 2권을 복원했다고 지난 7일 밝혔다. 복원 작업을 시작한 지 11개월여 만이다.
국가지정기록물 제4호이자 등록문화재 제524-2호인 편찬원고는 조선어학회가 1929~1942년 조선말 사전 편찬을 위해 작성한 자료다.
1942년 10월 일제가 우리 말과 글을 말살하기 위해 조선어학회 관련자들을 잡아들인 '조선어학회 사건'의 증거물로 압수됐다가 1945년 9월8일 경성역 조선통운 창고에서 발견됐다. 한글학회가 1947년 이를 바탕으로 '조선말 큰사전' 2권을 간행했으며, 3권부터는 '큰사전'이라는 이름으로 1957년까지 총 6권을 편찬했다.
독립기념관에 소장돼 온 '여'편과 'ㅎ'편은 산성화가 진행돼 곳곳이 바스라졌다. 특히 저급 용지인 갱지가 사용된 곳의 훼손이 심각한 상태였다. 다양한 재질의 부전지(특이사항이나 추가 설명을 위해 사용된 쪽지)도 붙어 있었다.
국가기록원은 훼손 부위를 한지로 보강하고 뒤틀림을 보정했다. 또 산성화가 진행된 원고는 종이 내부의 산을 제거하고 알칼리 화합물을 잔류시켜 종이의 훼손을 방지하는 '탈산 처리'를 수작업으로 했다. 보존성을 높이기 위해 중성지 폴더와 상자를 제작해 복원 처리한 원고를 보관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여'편은 전시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복제본도 제작했다. 국가기록원은 지난해 11월 '여'편의 복원을 끝내고 독립기념관에 인계한 데 이어 'ㅎ'편을 이달 중으로 인계할 예정이다.
이상진 국가기록원장은 "일제강점기 한글을 보존하고자 했던 선열들의 시대 정신이 담긴 기록물을 후대에 안전하게 계승할 수 있도록 복원·복제하게 돼 기쁘다"고 소감을 전했다.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원장 이상진)은 조선말 큰사전 편찬원고 17권 중 훼손이 심한 '여'편과 'ㅎ'편 등 2권을 복원했다고 지난 7일 밝혔다. 복원 작업을 시작한 지 11개월여 만이다.
국가지정기록물 제4호이자 등록문화재 제524-2호인 편찬원고는 조선어학회가 1929~1942년 조선말 사전 편찬을 위해 작성한 자료다.
1942년 10월 일제가 우리 말과 글을 말살하기 위해 조선어학회 관련자들을 잡아들인 '조선어학회 사건'의 증거물로 압수됐다가 1945년 9월8일 경성역 조선통운 창고에서 발견됐다. 한글학회가 1947년 이를 바탕으로 '조선말 큰사전' 2권을 간행했으며, 3권부터는 '큰사전'이라는 이름으로 1957년까지 총 6권을 편찬했다.
독립기념관에 소장돼 온 '여'편과 'ㅎ'편은 산성화가 진행돼 곳곳이 바스라졌다. 특히 저급 용지인 갱지가 사용된 곳의 훼손이 심각한 상태였다. 다양한 재질의 부전지(특이사항이나 추가 설명을 위해 사용된 쪽지)도 붙어 있었다.
국가기록원은 훼손 부위를 한지로 보강하고 뒤틀림을 보정했다. 또 산성화가 진행된 원고는 종이 내부의 산을 제거하고 알칼리 화합물을 잔류시켜 종이의 훼손을 방지하는 '탈산 처리'를 수작업으로 했다. 보존성을 높이기 위해 중성지 폴더와 상자를 제작해 복원 처리한 원고를 보관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여'편은 전시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복제본도 제작했다. 국가기록원은 지난해 11월 '여'편의 복원을 끝내고 독립기념관에 인계한 데 이어 'ㅎ'편을 이달 중으로 인계할 예정이다.
이상진 국가기록원장은 "일제강점기 한글을 보존하고자 했던 선열들의 시대 정신이 담긴 기록물을 후대에 안전하게 계승할 수 있도록 복원·복제하게 돼 기쁘다"고 소감을 전했다.
![]() |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원장 이상진)은 일일제강점기에 작성된 국가지정기록물 제4호이자, 등록문화재 제524-2호인 '조선말 큰 사전 편찬원고' 총 17권 중, 훼손이 심한 2권을 11개월 여에 걸친 작업 끝에 복원했다고 지난 7일 밝혔다. /사진=뉴시스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