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2주기, 이석태 특조위원장 “우리 사회 모두의 공감 필요”
김선엽 기자
2,141
공유하기
4·16 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 이석태 위원장은 세월호 참사 2주기를 맞은 오늘(15일) “세월호 참사는 희생자와 가족 일부의 문제가 아닌 우리 사회 모두의 공감이 필요한 것”이라고 말했다.
특조위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저동 특조위 대회의실에서 ‘세월호 참사 2주기 추모식’을 비공개로 진행했다. 이 위원장은 추도사를 통해 “세월호 참사는 우리 사회의 맹목적인 이윤추구와 국가의 구조실패로 인해 발생한 비극”이라며 “그럼에도 이러한 참사의 본질을 왜곡하고 진실을 부인하려는 이들도 있다. 또 ‘이젠 그만하라’고 말하기도 한다”고 밝혔다.
이어 “뿐만 아니라 특조위가 처한 여건도 녹록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며 “특별법에 보장된 1년6개월의 활동 기간조차 제대로 보장하지 않은 채 오는 6월까지의 예산만 지급했고 이로 인해 인양된 세월호를 조사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들게 만들기도 한다. 조사인력도 여전히 부족한 상태”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어려움을 앞장서서 헤쳐 나아가 우리에게 부여된 막중한 임무를 완수하겠다”고 다짐했다.
이 위원장은 “세월호 침몰의 원인이 무엇이고 구조하지 못한 이유가 무엇인지 등 진실을 찾는 일에 한층 매진해야 한다”며 “우리가 이를 향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때 진실을 알 권리가 있는 피해자들이 수긍할 수 있을 것이고 우리 사회도 변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우리 사회를 더 안전한 곳으로 바꿀 수 있는 모든 지혜를 모아야한다”며 “참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 관피아 문제는 전혀 해결되지 않은 채 잘못된 관행이 반복되고 있다. 안전과 생명을 존중하고 사회로 구조를 바꾸지 않는다면 제 2, 3의 세월호 참사는 또다시 일어날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참사의 아픔에 대해 사회적 공감대를 더욱 넓혀야한다”며 “피해자에 대한 지원은 시혜가 아니라 공동체 일원에 대한 우리 모두의 책무다. 이러한 인식 확산을 통해 사회적 치유가 가능하도록 만들어 우리 사회의 공공성을 회복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여기 함께 모인 우리들은 어떠한 어려움이 있을지라도 이를 뚫고 임무를 완수해야 할 사회적·역사적 책무를 지고 있다”며 “진실을 밝히는 일, 우리 사회를 안전하게 만드는 일에 전력을 다하는 등 임무에 매진하는 것이야말로 특조위가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진정한 방법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조위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저동 특조위 대회의실에서 ‘세월호 참사 2주기 추모식’을 비공개로 진행했다. 이 위원장은 추도사를 통해 “세월호 참사는 우리 사회의 맹목적인 이윤추구와 국가의 구조실패로 인해 발생한 비극”이라며 “그럼에도 이러한 참사의 본질을 왜곡하고 진실을 부인하려는 이들도 있다. 또 ‘이젠 그만하라’고 말하기도 한다”고 밝혔다.
이어 “뿐만 아니라 특조위가 처한 여건도 녹록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며 “특별법에 보장된 1년6개월의 활동 기간조차 제대로 보장하지 않은 채 오는 6월까지의 예산만 지급했고 이로 인해 인양된 세월호를 조사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들게 만들기도 한다. 조사인력도 여전히 부족한 상태”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어려움을 앞장서서 헤쳐 나아가 우리에게 부여된 막중한 임무를 완수하겠다”고 다짐했다.
이 위원장은 “세월호 침몰의 원인이 무엇이고 구조하지 못한 이유가 무엇인지 등 진실을 찾는 일에 한층 매진해야 한다”며 “우리가 이를 향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때 진실을 알 권리가 있는 피해자들이 수긍할 수 있을 것이고 우리 사회도 변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우리 사회를 더 안전한 곳으로 바꿀 수 있는 모든 지혜를 모아야한다”며 “참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 관피아 문제는 전혀 해결되지 않은 채 잘못된 관행이 반복되고 있다. 안전과 생명을 존중하고 사회로 구조를 바꾸지 않는다면 제 2, 3의 세월호 참사는 또다시 일어날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참사의 아픔에 대해 사회적 공감대를 더욱 넓혀야한다”며 “피해자에 대한 지원은 시혜가 아니라 공동체 일원에 대한 우리 모두의 책무다. 이러한 인식 확산을 통해 사회적 치유가 가능하도록 만들어 우리 사회의 공공성을 회복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여기 함께 모인 우리들은 어떠한 어려움이 있을지라도 이를 뚫고 임무를 완수해야 할 사회적·역사적 책무를 지고 있다”며 “진실을 밝히는 일, 우리 사회를 안전하게 만드는 일에 전력을 다하는 등 임무에 매진하는 것이야말로 특조위가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진정한 방법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 |
지난달 29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열린 4·16 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제2차 청문회 2일차에 참석한 이석태 세월호특별조사위원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자료사진=뉴시스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