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13총선에서 제3당 입지를 확보한 국민의당이 차기 당권을 놓고 내부 경쟁에 들어갔다. 거물급 호남 다선 의원들의 도전과 이를 견제하려는 안철수 상임공동대표 측 인사들의 신경전이 시작되는 모양새다.


국민의당 당헌 부칙에 따르면 안철수 상임공동대표와 천정배 공동대표의 임기는 차기 전당대회까지다. 또 당헌상 전당대회는 창당 후 6개월 이내에 개최하도록 규정돼 있어 두 대표의 임기는 사실상 오는 8월이 시한이다.

이에 따라 국민의당은 호남에서 총선을 이끌어온 다선 의원들이 차기 당권에 도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정계 안팎에선 4·13총선으로 원내에 재입성한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과 민주당 원내대표를 지낸 박지원 의원을 가장 유력한 당권 도전자로 꼽고 있다.


그러나 한때 대선주자였던 정 전 장관의 경우 2017년 대권 도전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현행 2년으로 규정된 당헌상 당대표 임기를 채우지 못할 공산이 커 한계로 꼽힌다. 박 의원의 경우 '호남정당' '기성정당' 이미지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와 관련 국민의당 한 관계자는 "호남정당이라는 프레임에 갇혀서 생각을 해선 안 된다"며 "현실적으로 여러 가지 경우의 수를 고려해 다선 의원들을 배제 없이 당대표 후보군에 올려두고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국민의당은 18일 4·13총선 이후 첫 공식 회의를 열어 총선에서 열세를 보인 영남권 방문을 추진한다. 안 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마포구 당사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부산 등 영남권 방문 일정을 논의한다. 이번 총선에서 당선자가 나오지 않은 영남권을 방문해 민심을 살피며 국민의당이 영남권을 소홀히 하고 있지 않다는 인상을 주기 위한 행보로 해석된다.

4·13총선 전북 전주병, 전남 목포에서 각각 당선된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왼쪽)과 박지원 의원. /자료사진=뉴스1
4·13총선 전북 전주병, 전남 목포에서 각각 당선된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왼쪽)과 박지원 의원. /자료사진=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