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세 임시직. 사진은 기사내용과 무관. /자료사진=뉴스1
60세 임시직. 사진은 기사내용과 무관. /자료사진=뉴스1
최근 60세 이상 연령대에서 임시직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 후 생계를 위해 임시직이라도 찾는 60대 이상 노인들이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노동연구원은 지난 3월 임시직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3만4000명 증가했다고 오늘(26일) 밝혔다. 임시직이란 계약기간이 1개월 이상 1년 미만인 단기 일자리를 통칭하는 말이다.


전 연령대의 임시직은 지난해 12월 이후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임시직은 전년 동월에 비해 17만4000명이나 증가했지만 12월에는 11만3000명, 1월 1만9000명으로 증가 폭이 줄어들었다. 올 2월에는 9000명이 감소하기도 했다.

하지만 은퇴연령인 60세 이상에서는 임시직 증가세가 매달 10만명 안팎의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해 9월 10만4000명, 12월 13만8000명이 증가한 60대 이상 연령대 임시직은 올해 3월에도 11만7000명가량 늘었다.


지난 3월 15~24세 연령층의 임시직이 2만4000명 감소하고 40대 연령층의 경우 5만1000명 감소한 것과 대비, 50대(2만2000명)와 60대 이상 연령층의 임시직 규모는 증가했다.

60세 이상에서 임시직이 늘어난 배경은 고령화에 따른 60세 이상 연령대의 인구 증가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60세 이상 인구는 지난해부터 전년 동월에 비해 매달 40만명대의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은퇴 후 소득원이 사라진 60대 이상 노인들이 생계를 꾸리기 위해 상대적으로 구직이 힘든 상용직 대신 임시직으로 취업한 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