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장마철이 시작됐다. 장마는 보통 6월 말부터 7월 말까지 한 달 동안 이어진다. 이런 장마철을 맞아 낙상사고를 주의해야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2015년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무릎관절염 환자 중 약 90%가 특히 장마철에 통증을 더욱 심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마철이 되면 흐린 날씨가 지속되면서 평소보다 대기압이 낮아지고 상대적으로 관절 내 압력은 높아지기 때문. 이로 인해 관절 내 활액막에 분포된 신경에 자극을 주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관절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듯 관절은 평상시와는 달리 예민해져 있는 상태로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사고는 더욱 큰 부상이 될 수 있다.
장마철에 더 아픈 무릎관절염…
이와 관련해 정형외과 전문의 김병호 원장은 “50대 이상의 경우에는 무릎을 포함해 어깨, 허리 등 퇴행성 변화가 찾아오는 시기이기 때문에 크게 다쳤을 경우에는 자칫 골절 사고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며 “또한, 낙상으로 인한 단순 통증으로 치료를 방치한다면 만성관절염을 얻을 수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라고 전했다.

만약 관절에 통증이 느껴진다면 각 증상에 맞게 대처 해야 한다. 관절이 뻣뻣하거나 시릴 때는 관절 내부의 신경이 원활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온도를 높이는 온찜질을 해주는 것이 좋은데, 통증 부위가 빨깧게 부어 오르고 화끈거릴 때는 이미 내부가 열로 가득한 것이기 때문에 얼음주머니 혹은 찬 물수건으로 이용해 냉찜질로 열을 식히는 것이 좋다.

한편 김 원장은 “쪼리, 샌들 등은 신발 자체의 바닥이 매우 미끄러워 낙상 위험을 더욱 높이기 때문에 비 오는 날에는 미끄러움을 방지해주고 마찰력이 좋은 편안한 신발을 착용해야 하며, 여성의 경우에는 특히 무릎을 불안정하게 하는 하이힐은 자제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차가운 에어컨 바람은 관절을 경직시켜 관절 통증을 높이는 한 요소이기 때문에 사무실 혹은 집 안에서는 양말을 신어 발에 온기가 돌아 하체를 포함 전신에 혈액순환이 원활이 되도록 해야한다.”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