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대한상공회의소
/제공=대한상공회의소

대한상공회의소가 올 하반기 한국 산업기상도를 '흐림'으로 예보했다. 글로벌 불확실성이 주요원인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10여개 업종별 협·단체와 공동으로 '하반기 산업기상도' 조사를 실시했다. '대한상의 산업기상도'는 업종별 실적과 전망을 집계하고 국내외 긍정적·부정적 요인을 분석해 기상도로 표현한 결과다.


기상도에는 건설, 정유·유화는 하반기 '구름조금'으로, IT·가전, 자동차, 기계, 철강, 섬유·의류는 '흐림'으로 책정됐다. 조선업종에는 ‘비’가 예보됐다. 맑음은 매우 좋음, 구름조금은 좋음, 흐림은 어려움, 비는 매우 어려움으로 해석 가능하다.

대한상의는 기상도가 전체적으로 흐린 원인을 브렉시트로 인한 EU 정세불안과 중국·미국을 중심으로 보호주의 색채가 강화된 탓으로 분석했다. 글로벌 분업 약화도 이유로 꼽았다.


‘구름조금’ 평가를 받은 건설업계는 하반기 저금리로 인한 신규분양, 수익형 부동산 수요증가 등이 예상된다. 다만, 구조조정 여파로 지방내수 위축과 함께 브렉시트발 해외수주불안은 부정적 요인이다. 또 건설업계는 '종합심사낙찰제 효과'를 기대 중이다. 종합심사낙찰제는 300억 이상 공공건설 시공사를 선정하는 입찰방식으로 올해 본격화됐지만 세부규정이 마련되지 않아 상반기 7조9000억원의 공사가 하반기 이후로 미뤄졌다.

정유·유화업종도 ‘구름조금’ 평가를 받았다. 저유가가 안정화되면서 전체 수출의 상당부분(80%)을 차지하는 아시아지역 석유제품 수요가 꾸준한 탓이다. 실제 2분기도 아시아지역 휘발유 수출이 전년 동기대비 59%, 항공유 15.4% 증가했다.


IT·가전은 EU 정세불안으로 무역풍이 불지 않을 것을 우려해 흐림으로 전망됐다. 세계 스마트폰 시장성장률이 작년에 비해 절반(7%)으로 떨어지는 추세고 브렉시트발 유럽시장 축소도 영향을 미쳤다.

철강도 하반기는 '구름'이다. 미국이 중국산 철강에 반덤핑 과세를 매기면서 우리나라에도 50%의 관세를 매기는 '통상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브렉시트로 인한 강달러 현상이 지속되면 원자재수입도 부담이다. 다만 중국내 철강산업 구조조정으로 공급과잉이 다소 진정될 수도 있다는 분석도 있다.


기계업종도 중국 등 글로벌 리스크로 흐린 전망이다. 수출의 20%이상을 차지하는 중국경기가 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중동수요도 부진한 상태다. 브렉시트로 5월의 EU 수출증가율이 13.7%를 크게 하회하리란 예상이다. 베트남의 경기활성화정책과 이란 경제제재 해제라는 호재가 있다.

섬유·의류 업종은 최대 섬유수입국 중국의 수요감소 우려로 '구름'을 전망했다. 국내 섬유소비마저 미진한 상태다. 단 새로운 의류생산기지 베트남으로의 수출은 지속적으로 늘 전망이다.의류 역시 '아웃도어 붐' 이후 시장을 이끌어 갈 새 트렌드를 찾기 어렵다.

자동차 산업은 중남미·중동 수출감소가 예상되며 정부의 한시적 개별소비세 인하정책이 종료돼 흐리다. 브렉시트로 인한 엔고현상으로 라이벌인 일본업체들에 비해 가격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는 점이 호재로 평가된다.

조선업종은 국지성 호우 판정을 받았다. 한국과 일본, 대만이 제조한 부품을 중국과 베트남이 조립·생산해 수출하는 글로벌 분업고리가 약화돼 물동량이 줄어 선박수주도 같이 감소한다는 분석이다. 올해 세계선박 발주량은 지난해에 비해 30% 이상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상반기 한국의 수주량은 88% 감소했다. 여기에 선박발주량의 절반을 차지하는 유럽경제의 불확실성이 증대되며 기존 계약이 취소될 가능성도 높다.

전수봉 대한상의 경제조사본부장은 “하반기는 브렉시트, 신 중상주의 외에도 불확실성이 큰 기간이 될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며 “불확실성에 대한 대응전략 수립과 구조개혁, 규제개선 등을 통해 우리경제의 혁신역량을 키우는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