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OK저축은행이 법정 대출최고금리(연 27.9%)를 소급적용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소형저축은행이 법정 대출최고금리 소급적용에 하나둘 동참하는 가운데 만약 OK저축은행도 이를 시행한다면 다른 대형저축은행에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22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OK저축은행은 최근 법정 최고금리 소급적용 대상을 기존 고객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내부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다만 시기와 소급적용 대상고객군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OK저축은행 관계자는 "그런 방향(소급적용 확대방안)으로 추진할 것"이라며 "그러나 아직까지 구체적인 방안은 나오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대형저축은행은 딜레마에 빠졌다. 대출금리 소급적용에 동참하면 막대한 손실이 예상되고 그렇다고 외면하자니 고객의 눈치를 봐야 한다. 이와 관련 SBI·HK·웰컴저축은행 등 대형저축은행측은 "(대출금리 소급적용은) 현재까지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실적 하락 뻔한데… 딜레마 빠진 대형저축은행들

대출금리 소급적용은 법정 대출최고금리를 기존 고객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담았다. 현재 저축은행은 개정대부업법에 따라 지난 3월3일부터 신규대출 취급 시 최고금리를 기존 연 34.9%에서 연 27.9%로 7%포인트 인하해 적용 중이다. 


하지만 3월3일 이전에 대출받은 기존 거래자는 금리혜택을 보지 못하고 연 34.9%의 최고금리를 내야 한다. 다시 말해 대출금리 소급적용은 법 개정 이전 고객까지 연 27.9%로 금리를 낮추겠다는 뜻이다. 저축은행으로선 수익성이 줄지만 고객은 이자 감면혜택을 누릴 수 있는 셈이다.


이는 소형저축은행이 가장 먼저 시행했다. 신용대출을 취급하는 40여개 저축은행 가운데 현재 모아·대한·인성·키움·페퍼·한국투자·스타·삼호저축은행 등 8개 저축은행이 지난 18일부터 신용대출 소급적용을 시행했다.

금리를 자율적으로 책정할 수 있는 길이 열리면서 이들 소형저축은행은 곧바로 실질금리를 인하했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8개 저축은행 조치로 거래자 5만명가량이 대출이자 경감혜택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대형저축은행이 금리인하 카드를 꺼내지 못한 이유는 무엇일까. 가장 큰 이유는 막대한 손실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소형저축은행의 경우 기존 신용대출 고객 수가 많지 않아 실적부담을 상대적으로 덜 수 있지만 대형저축은행은 손실이 클 수밖에 없는 구조다.


실제로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이번에 금리인하 소급적용에 참여한 8개 저축은행의 신용대출 규모는 총 7500억원, 각사 평균 800억~900억원 수준이다. 반면 SBI·OK·HK·웰컴·JT친애·현대저축은행 등 자산규모 1조원 이상의 상위 6개사 신용대출 규모는 5조원이 넘는다. 이는 저축은행 전체 신용대출규모(7조8000억원)의 3분의2에 달한다. 개정 법정 최고대출금리를 적용할 때 대형저축은행의 손실이 사실상 불가피한 셈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신용대출 소급적용을 계속 외면하기도 힘든 상황이다. 소형저축은행을 비롯해 OK저축은행까지 소급적용 카드를 꺼낸 터라 이에 동참하지 않으면 고객으로부터 원성을 살 수 있어서다.

게다가 이미지 손실도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소형 저축은행의 실질적인 금리인하 소급적용 전략은 이미지 개선의 의도가 짙다. '저축은행=고금리'의 등식을 깨자는 것이 이들의 의도다.

저축은행의 신용대출은 저축은행 전체 대출규모의 20% 수준에 불과하다. 그 중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단기소액신용대출은 전체 대출규모의 3% 정도다. '저축은행=고금리' 이미지가 과장돼 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저축은행들이 자발적으로 소급적용에 나서는 것이다.


이처럼 소형저축은행도 이미지 개선을 위해 노력 중인데 대형저축은행이 뒷짐을 지고 있다면 여론의 비판을 받을 수 있는 셈이다.

이와 관련 대형저축은행 입장에선 금리인하요구권을 시행하기 때문에 더 이상의 소급적용은 무리라는 입장이다. 한 대형저축은행 관계자는 "(금리인하요구권을 시행하면서) 1년 이상 월 평균 400여건의 금리를 인하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각사마다 사정이 다르겠지만 OK저축은행이 소급적용을 시행한다면 고민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