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프랜차이즈 한식뷔페 ‘풀잎채’의 성공 비결
강동완 기자
6,047
공유하기
대기업의 무분별한 골목상권 진출을 방지하는 중소기업적합업종 제도가 시행된 지 5년이 지났다. 하지만 아직도 이 제도가 중소기업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는 입장과 효과도 없고 소비자 이익을 침해한다는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되고 있다.
최근에는 동반성장위원회의 권고사항을 넘어 법제화가 추진되고 있어 그에 대한 찬반 논란이 뜨겁다. 이러한 논란 속에 대기업 브랜드들과의 경쟁에서 전혀 밀리지 않고 성장하고 있는 중소기업 프랜차이즈가 있어 주목할 만하다. 한식뷔페 ‘풀잎채’가 바로 그곳이다.
풀잎채는 2013년 1월, 경남 창원의 롯데백화점 식당가 1호점을 시작으로 현재 전국에 44곳의 매장을 열었다. 주로 대형 백화점이나 마트, 쇼핑몰 등에 330㎡~660㎡ 규모로 입점한다. 풀잎채 매장이 처음부터 대박을 터뜨리자 여지없이 대기업들이 한식뷔페 시장에 뛰어들었다.
CJ푸드빌의 ‘계절밥상’이 2013년 7월에 시작하여 현재 40개 매장을 개설했고, 이랜드의 ‘자연별곡’이 2014년 4월에 시작하여 현재 52개 매장을, 그리고 신세계푸드의 ‘올반’이 2014년 10월에 시작, 현재 14곳의 매장을 오픈했다.
이들은 모두 풀잎채와 마찬가지로 동반성장위원회의 대기업 음식점업 출점 규제에서 제외되는 상권인 복합다중시설, 역세권, 신도시·신상권, 상업지역 등에 입점해 있다. 대기업이 진출하자 외식업계에서는 풀잎채가 경쟁에서 밀려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풀잎채는 예상과 달리 현재까지도 승승장구 하고 있다. 그 비결은 뭘까.
첫째, 한식뷔페 업종의 창안자로서 한식 메뉴에 대한 노하우가 많다는 점이다. 창업자 정인기 대표(55)가 20년 간 한식 사업의 외길 인생을 걸어오면서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한식의 문제점은 개선하고, 장점은 살려 한식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한 것이 바로 풀잎채다.
오랜 경험을 통해 고객들이 좋아하는 것이 뭔지 잘 알기 때문에 맛과 품질이 검증된 메뉴만을 취급한다. 반면, 대기업은 풀잎채 초기 매장들이 성공하자 한식뷔페의 트렌드를 보고 담당 사업부를 만들어 뛰어들었기 때문에 그런 노하우가 없다. 풀잎채는 소비 트렌드를 주도하기 위해 회사의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둘째, 가격 대비 품질, 즉 가성비가 높다. 풀잎채의 1인당 가격은 평일 낮에는 1만2,900원, 저녁과 주말, 휴일에는 1만6,900원이다. 샐러드바와 함께 다양한 한식요리, 커피 및 음료, 디저트까지 원스톱으로 즐기기에 부담이 없는 가격이다.
건강식인 한식을 좋아하는 중장년 여성층을 유인할 수 있었던 요인이기도 하다. 이러한 가격대는 경쟁하는 대기업 브랜드들보다 15~20% 정도 저렴하다. 사실 한식의 가격이 2만 원에 육박하면 부담을 느끼는 것이 소비자의 심리다. 그럼에도 공인된 연구기관의 조사에 의하면 풀잎채 매장의 단위당 매출은 더 높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풀잎채는 나물 및 소스 제조공장과 유통 자회사를 설립하여 직접 운영하고, 많은 식재료를 산지와 직거래로 유통하면서 과학적인 원가절감 시스템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중소기업도 한 가지 업종에 집중하면 대기업과의 경쟁에서도 충분히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한 셈이다.
셋째, 공동투자 형태의 창업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한 점이다. 본사 및 복수의 공동 투자자가 매장을 열면 운영은 본사가 파견한 전문가가 맡는 위탁운영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투자자는 매달 정산한 이익금에서 지분에 따라 배당금을 받으면 된다.
풀잎채 전체 투자자의 60%가 두 개 이상 점포에 투자할 만큼 수익성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편이다. 금리가 낮은데다, 점포 운영에 부담을 느끼는 창업 희망자들을 견인할 수 있는 요인이다. 이러한 위탁운영시스템 구축은 정 대표가 한식사업 20년 경험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풀잎채는 어느덧 중견기업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올해 말까지 매장이 60개로 증가할 것이고 풀잎채 및 자회사의 총 매출은 1,000억 원에 다다를 것으로 예측한다. 산지농가와의 상생 방안을 마련하고, 브랜드 마케팅을 위해 하반기부터 CF 광고에 들어갈 계획이다.
미국과 동남아 국가 등 해외진출도 올해 안에 꼭 이루어 ‘한식 세계화’의 비전도 제시하겠다는 구상이다.
최근에는 동반성장위원회의 권고사항을 넘어 법제화가 추진되고 있어 그에 대한 찬반 논란이 뜨겁다. 이러한 논란 속에 대기업 브랜드들과의 경쟁에서 전혀 밀리지 않고 성장하고 있는 중소기업 프랜차이즈가 있어 주목할 만하다. 한식뷔페 ‘풀잎채’가 바로 그곳이다.
풀잎채는 2013년 1월, 경남 창원의 롯데백화점 식당가 1호점을 시작으로 현재 전국에 44곳의 매장을 열었다. 주로 대형 백화점이나 마트, 쇼핑몰 등에 330㎡~660㎡ 규모로 입점한다. 풀잎채 매장이 처음부터 대박을 터뜨리자 여지없이 대기업들이 한식뷔페 시장에 뛰어들었다.
![]() |
▲ 풀잎채 홍대점 (사진=강동완기자) |
CJ푸드빌의 ‘계절밥상’이 2013년 7월에 시작하여 현재 40개 매장을 개설했고, 이랜드의 ‘자연별곡’이 2014년 4월에 시작하여 현재 52개 매장을, 그리고 신세계푸드의 ‘올반’이 2014년 10월에 시작, 현재 14곳의 매장을 오픈했다.
이들은 모두 풀잎채와 마찬가지로 동반성장위원회의 대기업 음식점업 출점 규제에서 제외되는 상권인 복합다중시설, 역세권, 신도시·신상권, 상업지역 등에 입점해 있다. 대기업이 진출하자 외식업계에서는 풀잎채가 경쟁에서 밀려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풀잎채는 예상과 달리 현재까지도 승승장구 하고 있다. 그 비결은 뭘까.
첫째, 한식뷔페 업종의 창안자로서 한식 메뉴에 대한 노하우가 많다는 점이다. 창업자 정인기 대표(55)가 20년 간 한식 사업의 외길 인생을 걸어오면서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한식의 문제점은 개선하고, 장점은 살려 한식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한 것이 바로 풀잎채다.
오랜 경험을 통해 고객들이 좋아하는 것이 뭔지 잘 알기 때문에 맛과 품질이 검증된 메뉴만을 취급한다. 반면, 대기업은 풀잎채 초기 매장들이 성공하자 한식뷔페의 트렌드를 보고 담당 사업부를 만들어 뛰어들었기 때문에 그런 노하우가 없다. 풀잎채는 소비 트렌드를 주도하기 위해 회사의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둘째, 가격 대비 품질, 즉 가성비가 높다. 풀잎채의 1인당 가격은 평일 낮에는 1만2,900원, 저녁과 주말, 휴일에는 1만6,900원이다. 샐러드바와 함께 다양한 한식요리, 커피 및 음료, 디저트까지 원스톱으로 즐기기에 부담이 없는 가격이다.
건강식인 한식을 좋아하는 중장년 여성층을 유인할 수 있었던 요인이기도 하다. 이러한 가격대는 경쟁하는 대기업 브랜드들보다 15~20% 정도 저렴하다. 사실 한식의 가격이 2만 원에 육박하면 부담을 느끼는 것이 소비자의 심리다. 그럼에도 공인된 연구기관의 조사에 의하면 풀잎채 매장의 단위당 매출은 더 높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풀잎채는 나물 및 소스 제조공장과 유통 자회사를 설립하여 직접 운영하고, 많은 식재료를 산지와 직거래로 유통하면서 과학적인 원가절감 시스템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중소기업도 한 가지 업종에 집중하면 대기업과의 경쟁에서도 충분히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한 셈이다.
셋째, 공동투자 형태의 창업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한 점이다. 본사 및 복수의 공동 투자자가 매장을 열면 운영은 본사가 파견한 전문가가 맡는 위탁운영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투자자는 매달 정산한 이익금에서 지분에 따라 배당금을 받으면 된다.
풀잎채 전체 투자자의 60%가 두 개 이상 점포에 투자할 만큼 수익성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편이다. 금리가 낮은데다, 점포 운영에 부담을 느끼는 창업 희망자들을 견인할 수 있는 요인이다. 이러한 위탁운영시스템 구축은 정 대표가 한식사업 20년 경험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풀잎채는 어느덧 중견기업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올해 말까지 매장이 60개로 증가할 것이고 풀잎채 및 자회사의 총 매출은 1,000억 원에 다다를 것으로 예측한다. 산지농가와의 상생 방안을 마련하고, 브랜드 마케팅을 위해 하반기부터 CF 광고에 들어갈 계획이다.
미국과 동남아 국가 등 해외진출도 올해 안에 꼭 이루어 ‘한식 세계화’의 비전도 제시하겠다는 구상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