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휴가철 여파로 서울 재건축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 상승폭이 3주째 주춤한 모양새다.

29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7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0.13% 올라 지난주(0.14%)에 비해 상승폭이 소폭 감소했다.


서울 재건축 시장 역시 0.17% 올라 전주(0.23%)에 비해 오름폭이 꺾였다. 집단대출 분양보증 심사 강화, 금융당국의 집단대출 리스크 관리 실태 점검 등이 이어지며 3주 연속 상승세가 주춤했다. 이에 따라 강동구(0.95%→0.6%), 서초구(0.41%→0.05%), 송파구(0.19%→0.07%) 등이 지난주에 비해 상승폭이 줄었다.

반면 강남구(0.13%→0.17%)는 오름폭이 다소 커졌다. 압구정동 재건축 단지의 ‘재건축 정비계획안’이 주민 공람을 앞두고 일부 매물이 회수되면서 가격이 올랐다.


전세가격은 서울 0.04%, 신도시 0.01%, 경기·인천이 0.03% 상승했다. 매물이 부족한 지역을 중심으로 가격 상승세가 이어졌지만 30도를 웃도는 폭염과 여름휴가철 영향으로 전세 수요 움직임이 많지 않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하남미사 등 새 아파트 입주가 몰린 지역은 아파트 전셋값이 내리기도 했으며 인접한 강동구도 이번 주 하락했다.

서울 자치구별 매매가 변동률은 ▲은평(0.25%), ▲양천(0.24%), ▲강동(0.23%), ▲광진(0.22%), ▲도봉(0.19%), ▲강남(0.18%), ▲관악(0.18%), ▲구로(0.18%), ▲영등포(0.17%) ▲서대문(0.016%) 등의 순으로 상승했다.


신도시는 ▲분당(0.1%), ▲중동(0.1%), ▲일산(0.05%), ▲판교(0.05%), ▲위례(0.04%), ▲평촌(0.03%), ▲산본(0.03%) 등이 올랐다.

서울 전세는 ▲강북(0.42%), ▲은평(0.4%), ▲광진(0.19%), ▲관악(0.16%), ▲서대문(0.14%) ▲중구(0.12%), ▲마포(0.1%) 등이 올랐다. 반면 강동(-0.28%), 강서(-0.21%), 서초(-0.03%) 등은 내렸다.


신도시는 ▲동탄(0.07%), ▲일산(0.03%), ▲판교(0.03%) 등이 상승했고 평촌(-0.02%), 분당(-0.01%)은 소폭 하락했다.
여름 휴가철 등의 여파로 서울 재건축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 상승폭이 3주째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뉴시스 DB
여름 휴가철 등의 여파로 서울 재건축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 상승폭이 3주째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뉴시스 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