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자료사진=머니S DB
금융감독원. /자료사진=머니S DB

금융권에서 빌린 돈이 500억원이 넘는 대기업 중 부실화가 심한 32곳이 올해 구조조정 대상에 올랐다. 조선과 해운 같은 취약업종뿐 아니라 전자업종도 5곳 이상이 대상에 포함됐다.

금융감독원은 금융권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 대기업 602개 업체 중 32개를 구조조정 업체로 선정했다고 7일 밝혔다.


올해는 기업구조조정촉진법 제정 이후 첫 평가로 이의 제기 절차가 도입됐다. 당초 34개 업체가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됐는데 5개사로부터 이의제기를 받아 재심사를 했고 2건이 수용돼 32개로 확정됐다.

구조조정 대상 업체 수는 1년 전에 비해 3개 감소했다. 지난해 12월에 수시 평가로 19개 기업을 구조조정 대상으로 이미 선정한데다 평가 시기도 6개월 밖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등급별로는 워크아웃 대상인 C등급이 13개, 법정관리 대상인 D등급이 19개로 나타났다. 1년 전에 비해서는 C등급만 3개 줄었다.

업종별로는 조선업과 해운업 구조조정 대상이 1년 전보다 4개와 3개씩 늘었다. 건설업은 부동산 경기 활성화에 힘입어 구조조정 대상이 13개에서 6개로 줄었다. 지난해엔 없었던 철강과 석유화학도 한 곳씩 이름을 올렸다. 반면 지난해 구조조정 대상이었던 유통과 도소매업은 올해 명단에 없었다.


전자업종의 경우 5곳이 구조조정 대상에 올랐다. 모두 D등급이었다.

금감원은 "삼성전자나 하이닉스 등 대기업의 호실적 때문에 착시 효과가 나타났지만 실제로는 전자업종 부품업체들의 업황이 좋은 편은 아니다"라며 "중국의 수요 감소 등으로 디스플레이와 반도체 부품 업체 등이 큰 타격을 입었다"고 설명했다.


또 "전자업종이 2년 연속으로 5개 이상 업체가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됐다"며 "산업의 위험성을 감안해 밀착 관찰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