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아파트 매매가·전세가 각각 0.02% 상승
김창성 기자
1,145
공유하기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이 전주 대비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지난 8일 기준)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와 전세가는 전주 대비 각각 0.02% 상승했다.
매매가격은 폭염과 여름휴가 여파로 거래가 감소한 가운데 신규 공급물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하락했지만 저금리에 따른 정주여건이 양호한 지역의 실수요로 지방의 하락폭은 축소되며 전체적으로는 소폭 상승(0.01%→0.02%)했다.
전세가격은 집주인의 월세선호로 인한 수급불균형으로 상승세는 계속됐지만 국지적으로 신규 아파트의 전세공급이 많은 지역의 하락세가 이어지며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0.02%→0.02%)했다.
수도권(0.05%)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0.01%p)된 가운데 인천은 역세권 아파트를 중심으로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한 반면 서울과 경기의 상승폭은 축소됐다.
지방(-0.01%)은 대구는 신규 공급물량의 누적으로 하락폭 확대되고 거제시, 구미시, 포항시 등은 경기침체 영향으로 하락세를 이어갔다. 전남은 상승폭이 확대되고 부산은 정비사업 호소 및 동해남부선 개통(올 10월 예정) 기대 등의 영향으로 동부산권을 중심으로 상승하며 전체적으로 지난주 대비 하락폭이 축소(0.02%p) 됐다.
시도별로는 부산(0.11%), 서울(0.08%), 강원(0.04%), 인천(0.04%), 전남(0.04%), 경기(0.03%) 등은 상승, 대전(0.00%), 울산(0.00%), 제주(0.00%)는 보합, 경북(-0.13%), 대구(-0.11%) 등은 하락했다.
전세가격은 수도권과 지방이 상반된 동향을 보이는 가운데 연이은 무더위와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에도 불구하고 월세전환에 따른 전세물량 부족으로 2014년 5월5일 이후 118주 연속 상승세가 이어지며 지난주와 동일한 상승폭을 유지했다.
수도권(0.04%)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0.01%p)된 가운데 서울과 경기는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된 반면 인천은 상승폭 확대됐다.
지방(0.00%)의 경우 세종, 부산 등은 전세선호현상 및 저금리 전세자금 대출을 이용하려는 수요 증가로 상승세를 주도했지만 대구, 경북, 충남 등은 신규입주아파트의 전세공급으로 하락세가 지속되며 지난주에 이어 보합을 유지했다.
시도별로는 세종(0.16%), 부산(0.09%), 인천(0.08%), 전남(0.04%), 경기(0.04%) 등은 상승, 제주(0.00%)는 보합, 대구(-0.10%), 경북(-0.10%), 충남(-0.04%) 등은 하락했다.
11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지난 8일 기준)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와 전세가는 전주 대비 각각 0.02% 상승했다.
매매가격은 폭염과 여름휴가 여파로 거래가 감소한 가운데 신규 공급물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하락했지만 저금리에 따른 정주여건이 양호한 지역의 실수요로 지방의 하락폭은 축소되며 전체적으로는 소폭 상승(0.01%→0.02%)했다.
전세가격은 집주인의 월세선호로 인한 수급불균형으로 상승세는 계속됐지만 국지적으로 신규 아파트의 전세공급이 많은 지역의 하락세가 이어지며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0.02%→0.02%)했다.
수도권(0.05%)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0.01%p)된 가운데 인천은 역세권 아파트를 중심으로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한 반면 서울과 경기의 상승폭은 축소됐다.
지방(-0.01%)은 대구는 신규 공급물량의 누적으로 하락폭 확대되고 거제시, 구미시, 포항시 등은 경기침체 영향으로 하락세를 이어갔다. 전남은 상승폭이 확대되고 부산은 정비사업 호소 및 동해남부선 개통(올 10월 예정) 기대 등의 영향으로 동부산권을 중심으로 상승하며 전체적으로 지난주 대비 하락폭이 축소(0.02%p) 됐다.
시도별로는 부산(0.11%), 서울(0.08%), 강원(0.04%), 인천(0.04%), 전남(0.04%), 경기(0.03%) 등은 상승, 대전(0.00%), 울산(0.00%), 제주(0.00%)는 보합, 경북(-0.13%), 대구(-0.11%) 등은 하락했다.
전세가격은 수도권과 지방이 상반된 동향을 보이는 가운데 연이은 무더위와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에도 불구하고 월세전환에 따른 전세물량 부족으로 2014년 5월5일 이후 118주 연속 상승세가 이어지며 지난주와 동일한 상승폭을 유지했다.
수도권(0.04%)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0.01%p)된 가운데 서울과 경기는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된 반면 인천은 상승폭 확대됐다.
지방(0.00%)의 경우 세종, 부산 등은 전세선호현상 및 저금리 전세자금 대출을 이용하려는 수요 증가로 상승세를 주도했지만 대구, 경북, 충남 등은 신규입주아파트의 전세공급으로 하락세가 지속되며 지난주에 이어 보합을 유지했다.
시도별로는 세종(0.16%), 부산(0.09%), 인천(0.08%), 전남(0.04%), 경기(0.04%) 등은 상승, 제주(0.00%)는 보합, 대구(-0.10%), 경북(-0.10%), 충남(-0.04%) 등은 하락했다.
![]() |
전국 아파트매매가격지수 추이. /자료=한국감정원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창성 기자
머니S 김창성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