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안 처리’ 끝내 무산… 여야 서로 ‘네 탓’ 책임 공방
박효선 기자
1,801
공유하기
![]() |
국회 예결위회의장. /사진=손형주 뉴스1 기자 |
22일 ‘추가경정예산안 처리’가 끝내 무산됐다. 여야 3당 원내수석부대표가 심야회동까지 했지만 접점을 찾지 못했다. 이는 해운·조선업 구조조정 청문회의 증인 채택 문제에서 여야 간 이견을 좁히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전해졌다.
새누리당은 이날 추경안 처리의 시급성을 강조한 반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은 청문회 증인 채택부터 합의해야 한다고 맞섰다.
김도읍 새누리당 수석부대표는 야당에 “차라리 ‘추경안 처리 거부’를 선언해 달라”며 “그래야 정부도 추경안에 담고자 했던 조선·해운업 구조조정에 따른 실업대책 등을 내년도 본예산에라도 충실하게 반영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기동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새누리당이 야당에 추경안 처리 무산 책임을 전가하려는 적반하장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면서 “추경은 속도와 타이밍이라며 시급 처리를 주장하던 여당이 이제 와서 이를 내년도 본예산에 반영한다고 하는 게 말이 되느냐”고 비판했다.
특히 이날 오전 김도읍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의 의원실에서 열린 3당 원내수석부대표간 협상에서도 청문회 증인채택은 불발됐다. 이 자리에서 새누리당은 최경환 의원과 안종범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을 제외하면 홍기택·강만수 전 행장은 증인으로 채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자 더민주와 국민의당은 최 의원과 안 수석의 증인채택은 필수라고 반박했다.
박완주 더민주 원내수석은 협상 종료 후 “새누리당측에선 홍기택 증인이 어디에 있는지 파악이 안 된 것 같다”며 “최경환 전 부총리가 나와서 결자해지하는 게 제일 좋지 않느냐 했더니 본인이 안 나온다고 해서 얘기도 못 꺼낸 것 같다”고 전했다.
다만 새누리당은 이번 협상에서 정무위-기재위 연석청문회 방식에 대해선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여야는 추경 처리와 청문회 개최 일정을 잡기 위한 추가 실무협상에 착수했지만 이마저도 타결 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