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머니투데이DB
/사진=머니투데이DB



경기도가 관리비 비리가 의심되는 556개 아파트단지를 조사한 결과 약 152억원이 부정사용된 사실을 적발했다.


경기도는 지난 12일 556개 아파트단지의 빅데이터 분석 결과 2013~2014년 152억2000만원이 무단사용됐다고 공개했다. 한 가구가 연간 3만원을 불필요하게 더 낸 셈이다.

445곳 아파트는 약 96억원을 장기수선 공사비로 전용했다. 또 544곳 아파트에서는 약 31억원을 관리소 직원에게 수당이나 복리후생비 명목으로 지급했고 20억5000만원가량을 청소경비로 무단사용했다. 이밖에 245곳 아파트에서는 약 4억원을 입주자대표회의나 선거관리위원회가 운영비로 사용했다.


이에 대해 대한주택관리사협회는 조사 대상이 빅데이터 자료를 근거로 추출한 만큼 아파트 전체에 대한 통계로 오해를 줄 소지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송영환 홍보협력국장은 "관리비를 부적정사용한 금액이 부풀려져 있고 대부분을 차지하는 장기수선 공사비 전용은 입주자와 사용자 간 부담주체가 누구인지의 문제지 관리비의 효율적 집행이나 절감을 위한 직접적 관련성이 없다"고 지적했다.

협회는 정부와 지자체가 장기수선 충당금과 수선유지비 집행대상 항목의 구분에 관한 표준안을 제정 및 발표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지자체가 공동주택 관리에 관한 예방적 지도감독을 상시화하고 인력과 예산을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아울러 관련 종사자의 급여나 복리후생에 관해 표준안을 제정하고 경비청소 용역계약에 '용역의 기성 및 준공 시 정산'에 관한 구체적 근거규정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