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파업, '버스 막차 연장' 등 대책 마련… "출퇴근 시간 정상운행"
장영락 기자
5,791
공유하기
![]() |
지하철 파업. /자료사진=뉴시스 |
지하철 파업이 하루 앞으로 다가운 가운데 서울시가 파업에 대비해 비상수송대책을 추진한다. 서울 지하철 파업이 내일(27일)부터 예고되면서 서울시가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앞서 서울 지하철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 노조와 5~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도시철도공사노조는 지난 23일 정부의 취업규칙 변경, 성과연봉제 도입 등에 반대해 내일 오전 9시10분부로 파업에 나서기로 결의했다.
서울시는 지하철 파업에 대비해 어제(25일) 오전부터 시청에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대책본부는 지하철 파업이 종료될 때까지 운영기관과 협조해 정상운행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또 버스업계 등과 협조체계도 구축해 단계별 지하철 파업 상황에 따라 대체 수송수단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대책본부는 파업 기간별로 비상수송대책을 1~2단계로 나눠 진행하기로 했다. 또 2개 공사 노조가 지하철 파업에 들어가더라도 출퇴근 시간대에는 평상시 수준으로 정상 운행하는 것을 기본으로 정했다. 평시처럼 오전 5시30분~익일 오전1시 운행시간을 지키고 출퇴근시간의 경우 운행 간격 또한 유지한다.
27일부터 10월 3일 7일간은 파업 1단계로 출퇴근시간은 정상운행을 유지하고 낮 시간 등 운행률을 감소시켜 평상시 80~85% 수준으로 운행한다. 지하철은 필수유지 공익사업장이라 파업에 들어가도 일정 수준 이상 인력을 유지하도록 법률상 규정돼 있다
파업이 8일을 넘길 경우 대책 2단계에 돌입한다. 대체인력 장기근무에 따른 피로도를 감안해 열차 운행을 평상시 대비 70%대로 낮춘다. 더불어 대체 수송력을 높이기 위한 버스 막차 연장, 버스 운행 관리 등 대책도 실시한다. 서울시는 개인택시 부제 해제(1만5000대 추가 운행)와 마을버스·광역버스 운행시간 조정 등 대체 수송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여러 방안을 실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