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최근 젊은층을 중심으로 급속히 확산하는 '고지방 저탄수화물' 다이어트 열풍 탓에 버터가 품귀 현상을 빚고, 쌀 소비량은 더욱 감소했다.

1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다이어트의 적으로 여겨졌던 지방이 오히려 효과적인 다이어트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이론이 최근 방송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퍼지면서 버터와 치즈, 삼겹살 등 고지방식 매출이 가파르게 상승했다.


이마트가 고지방 다이어트 열풍이 일어나기 전후인 8~10월 매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8월19일~9월18일 버터 -19.2%, 치즈 -11%, 삼겹살 -7.9% 등으로 역신장세를 면치 못했던 고지방식 품목의 매출은 9월 중순을 기점으로 급속히 증가했다. 일부 방송에서 고지방 저탄수화물 다이어트를 집중 조명한 9월19일부터 10월12일까지 이마트 버터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41.4%, 치즈는 10.3%, 삼겹살은 7.6% 급증했다.

식생활 변화로 매년 매출이 줄고 있는 쌀은 이러한 여파로 -11%이던 역신장세가 -37%로 더욱 심화했다. 수입·생산업체가 많은 치즈는 품귀 현상이 덜한 편이나 버터는 수입이나 생산하는 국내 업체가 소수여서 품절 사태를 빚는 소매점이 속출했다.


국내 가정용 가공버터의 80%가량을 생산·공급하는 롯데푸드는 최근 생산 설비까지 신규로 교체하면서 버터 생산량을 최대치로 끌어올렸지만 쇄도하는 주문량의 50~60%밖에 소화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천연버터를 주로 생산하는 서울우유도 지난달 말께부터 급증하는 주문량을 맞추기 위해 공장을 최대한 돌리고 있지만 수요를 맞추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