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관순 한미약품 사장이 18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호재에 이은 악재 늑장공시 의혹에 대해 직접 사과했다.


이 자리에서 이관순 사장은 “회사 대표로서 책임을 통감하고 사죄한다”며 “앞으로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통제시스템을 강화하고 보안에 신경 써 잃어버린 신뢰를 찾겠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공시지연의 의도성에 대해선 강하게 부인했다. 이 사장은 “중요한 기술수출 계약 취소건이라 거래소에 방문하고 협의 하에 진행한다는 회사 원칙에 따라 진행했다”며 “거래소와 협의가 끝난 게 (9월30일) 오전 8시56분쯤”이라고 말했다.


이어 “당시 불성실공시법인 가능성이 제기돼 내부적으로 그 부분을 협의하느라 늦어졌다”며 “의도한 것은 아니지만 업무처리 과정에서 지연됐다”고 해명했다.


이관순 한미약품 사징이 18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늑장공시 의혹에 대 해명한 뒤 고개를 숙이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이관순 한미약품 사징이 18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늑장공시 의혹에 대 해명한 뒤 고개를 숙이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이 사장은 또 “한미약품의 공시지연으로 인한 투자자들의 손실 회복을 위해 회사 측이 직접 나설 의향이 있느냐”라는 질문에 대해선 “조사가 진행되고 있으므로 결과에 따라 필요한 조치가 있으면 하겠다”고 답했다.

한편 한미약품은 지난달 29일 장 마감 후인 오후 4시33분 제네틱에 1조원대 항암제 기술을 수출했다는 호재를 공시한 뒤 다음날 장이 열린 후인 오전 9시29분에 8500억원 규모의 베링거인겔하임과의 계약이 해지됐다는 악재를 공시했다. 

이로 인해 전날 호재 공시만 보고 30일 개장 직후 29분간 한미약품 주식을 사들인 투자자들은 악재 공시 후 주가가 급락하면서 하루 만에 최대 20%에 가까운 손실을 기록했다. 이 과정에서 공매도가 급증해 내부정보 사전유출 의혹까지 제기돼 검찰이 수사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