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 상승, 국내 경제 ‘호재’… 증시는 ‘역주행’
장효원 기자
2,395
공유하기
![]() |
/사진=머니S DB |
유가 상승이 미치는 영향은 업종별로 다르게 나타나는데다 감산 합의가 실제로 이행될지도 아직 불투명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OPEC 감산 결정 후 국내증시는 하락했다. 코스피 지수는 지난 1일 0.01% 상승하는데 그친 뒤 2일에는 0.66% 하락하며 1970.61로 마감했다. 코스닥지수는 1일과 2일 각각 0.38%, 1.20%씩 떨어져 586.73까지 밀렸다.
당초 유가 상승은 경기 회복으로 이어져 증시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컸지만 '최순실 게이트'나 '중국의 금한령' 등 각종 악재를 극복할 호재로 작용하지는 못했다는 분석이다.
코스피의 경우 유가 상승으로 수출 개선이 기대되는 업종들은 수혜를 입었다. 건설 업종은 이틀간 2.28% 올랐고 운송장비(0.69%), 화학(0.13%) 등의 업종도 상승세를 탔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감으로 철강·금속 업종도 1.21% 상승했다.
반면 음식료품(-2.31%), 섬유·의복(-1.70%), 유통(-0.86%) 등 내수 관련 업종은 주가가 하락했다. 유가가 상승하면 원가 경쟁력이 약해지는 전기·전자(-0.47%), 기계(-0.17%) 등도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내수 연관성이 높은 코스닥 업종들은 줄줄이 하락했다. 제약(-2.31%), IT(-1.37%), 유통(-0.91%), 오락·문화(-0.76%), 통신·방송서비스(-1.37%) 등의 주가가 뒷걸음질을 쳤다.
유가 상승이 국내 증시에 미칠 영향에 대해 다양한 전망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디플레이션에 대한 공포감이 해소되고 산유국 경제 회복에도 도움을 줘 우리 기업의 수출 여건을 개선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반면 향후 유가 상승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 증시에 호재가 되기 어렵다는 반론도 있다. 과거 OPEC의 감산 합의가 실제로 이행되지 않은 사례가 있고, 유가가 일정 수준 이상 올라가 미국의 셰일가스 생산이 재개되면서 다시 공급과잉 상태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