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진=뉴시스 DB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진=뉴시스 DB
당내 대선후보 경선과 대통령 선거에 결선투표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쏟아지는 가운데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에 대해 신중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결선투표제란 1차 투표에서 과반수(50%) 이상을 차지한 후보가 없을 시 상위권 득표자들만 추려서 2차 투표를 진행하는 제도다. 2차 투표에서 후보로 포함되지 않은 후보를 1차 투표 때 뽑았던 유권자들이 2차 후보 중 누구를 뽑을지 모르기 때문에 선거 결과가 뒤바뀔 수도 있다.


최근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구도에서 문 전 대표를 위협하는 다크호스로 떠오른 이재명 성남시장은 당내 경선에서 100% 국민경선제와 결선투표제를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시장 등 비문 주자들로선 당내 최대주주로 당내 상당수 대의원과 당원의 표심을 이미 장악하고 있는 문 전 대표를 꺾기 위해선 대의원·당원 투표 반영비율을 최대한 낮추고 막판 역전을 가능케 하는 결선투표를 도입해야만 비로소 승부를 걸어볼 수 있는 상황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이 시장 등 비문 주자들은 결선투표에 대비하며 후보간 연대를 꾀하는 한편 문 전 대표의 취약점을 찾아 협공을 펼 것으로 보인다. 문 전 대표 측은 당내 경선에 결선투표를 적용하는 것을 놓고 신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문 전 대표 측은 아직 당내 경선룰을 얘기할 때가 아니라며 결정 시점을 늦추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이 진행되고 적폐청산이 논의되는 이 상황에서 경선룰을 놓고 줄다리기를 하면 국민적 비난을 면키 어렵다는 게 문 전 대표 측의 입장이다.


문 전 대표 측은 향후 여론의 추이를 관찰하면서 당내 경선 결선투표와 대선 결선투표를 수용할지 여부를 검토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