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위안부 합의. 심상정 정의당 대표가 지난달 서울 영등포구 국회에서 열린 야 3당 대표 회동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한일 위안부 합의. 심상정 정의당 대표가 지난달 서울 영등포구 국회에서 열린 야 3당 대표 회동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한일 위안부 합의와 관련, 심상정 정의당 대표는 어제(28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굴욕적인 한일 위안부 합의가 있은 지 1년이 되는 날이다"라고 말했다.

심 대표는 "박근혜 대통령과 함께 탄핵돼 마땅한 대표적인 박근혜표 정책이다. 지난 1년간 어떤 화해도 치유도 없었다"며 "잘못조차 인정하지 않는데 어떻게 화해가 가능하겠는가. 애초에 반성 없는 돈 몇 푼에 치유될 상처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는 이날 서울 종로구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제1263차 정기 수요집회를 개최했다. 집회에는 시민 2000여명(경찰 추산 700명)이 참여, 한일 위안부 합의 폐기와 일본의 진정한 사죄를 요구했다.

이들은 "피해자들과 시민의 명백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군사작전을 펼치듯 합의를 밀어붙이고 퇴보인 합의를 진일보라고 우겼다"며 한일 위안부 합의 폐기를 주장했다.

윤미향 정대협 상임대표는 "말도 안 되는 비상식적인 정부를 지켜보는 지난 1년간 괴롭고 분노했다. 그래도 미국, 캐나다 등 해외 시민과 동포들이 소녀상을 세우고 국제사회에서 위안부 문제 목소리가 높았다. 이미 한일 위안부 합의는 무효가 됐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