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머니투데이
/사진=머니투데이

서울시의 '최고층수 35층 규제'를 둘러싼 논란이 커지고 있다. 서울시는 공공성을 확보하려는 정책이라는 입장인 반면 주거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규제라는 반발도 거세다.

서울시는 '2030 서울플랜'과 '한강변 관리 기본계획' 등에 따라 주거지역에 짓는 아파트의 최고층수를 35층으로 규제하고 있다. 이 때문에 35층 이상으로 지으려는 재건축단지들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는 최고 49층으로 재건축하는 계획안을 제출했으나 강남구청에 계류돼있다. 압구정 현대아파트 역시 최고층수가 35층 이하로 제한된 뒤 진척이 없는 상황이다.

서울시를 비롯해 '35층 규제'를 찬성하는 전문가들은 적정한 인구가 적정한 면적을 공유하고 주거환경을 훼손하지 않아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운다. 50층짜리 재건축을 허용할 경우 도시경관을 해치고 아파트숲으로 둘러싸이는 부작용이 우려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부동산업계 전문가들은 최고층수를 규제하는 것이 재건축사업의 수익성을 악화시킨다는 지적이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국내 주거지역의 특성상 아파트가 들어선 곳은 대부분 중심가고 중심가가 슬럼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전향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