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MWC 2017’서 감염병 확산 방지 솔루션 공개
허주열 기자
2,175
공유하기
![]() |
스마트 게이트 솔루션 구성도. /그래프=KT |
‘스마트 게이트’는 해외여행에서 돌아온 입국자가 휴대전화기를 소지한 채로 게이트를 통과하면 이 휴대전화기가 감염병 오염지역에서 통화 혹은 데이터 접속을 한 이력 여부를 확인해 검역 담당자에게 알려주는 솔루션이다.
‘스마트 게이트’ 구현 방식은 통로 내부에 펨토셀(소형 기지국)을 설치한 후 입국자가 이곳을 통과하면 사전에 정부기관으로부터 허가를 받은 입국자의 휴대전화기의 로밍데이터 이력을 가져오게 된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정부기관과 입국자 본인에게는 해외 감염국 방문여부와 감염병 주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스마트 게이트’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등 휴대전화의 부가기능이 아닌 휴대전화 고유기능인 3G와 LTE네트워크 신호의 송수신을 활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조작없이 휴대전화기가 켜져 있기만 하면 인식이 가능하다.
윤혜정 KT 빅데이터 사업추진단장은 “스마트 게이트 솔루션은 로밍데이터로 감염병 오염국가를 방문한 사람을 미리 파악해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MWC2017에서 시범적으로 선보인 것”이라며 “해외에서 유입되는 감염병을 차단하기 위한 통신사업자의 노력이 관람객으로부터 공감을 얻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