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파쇄기. 사진은 청와대. /사진=임한별 기자
문서파쇄기. 사진은 청와대. /사진=임한별 기자

정의당은 오늘(16일) "청와대가 지난해 9월부터 문서파쇄기를 26대나 구입했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가 불거지자 집중적으로 사들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창민 정의당 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브리핑을 열고 "도둑이 제 발 저리듯, 죄를 지은 사람들은 감출 것이 많다. 청와대가 무엇을 감추려고 했는지는 자명하다. 범죄 사실과 수사 단서가 될 수 있는 문건들을 모두 없애려 한 것이라면 전형적인 범죄 집단의 모습"이라고 비판했다.


한 대변인은 "그러나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릴 수는 없다. 청와대의 증거인멸 정황은 이미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의 수첩으로 들통난 상황이다. 뒤에서는 증거인멸에 혈안이 돼 있고, 앞에서는 '보안시설' 운운하며 특검의 압수수색을 거부한 것도 기가 찰 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청와대가 진실을 감추기 위해 조직적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온 국민이 의심하고 있다. 범죄 모의부터 증거인멸 정황까지 나온 상황이다. 범죄를 은폐하려는 시도에 대해서는 더 이상 관용을 보여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한 대변인은 "검찰은 당장 청와대를 압수수색 해야 한다. 국정농단을 수사하기 전부터 증거를 인멸해 왔다면, 지금까지 드러난 혐의보다 드러나지 않은 비리가 더 많을 것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증거는 더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그는 "검찰에게는 국정농단의 실체적 진실을 밝혀야 하는 역사적 책무가 있다. '생색 내기 수사'는 금물이다. 지금 박근혜 전 대통령을 포토라인에 세우는 것보다 중요한 것이 범죄 증거의 확보다. 검찰은 청와대 압수수색 시점과 성사 여부에 조직의 명운이 달려있음을 명심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일부 언론에서 청와대가 문서 파쇄기를 일정 기간에 집중 구입해 증거인멸 작업을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는데 한마디로 사실무근이다. 수사 단서 파기 목적으로 새로 구입한 것이 아니라 노후된 파쇄기를 교체한 것"이라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