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미국의 트럼프정부가 대미 무역흑자국을 겨냥, 환율조작 의혹을 제기한 가운데 한국 원화의 실질가치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들어 한국 원화의 실질가치 상승률은 주요 27개국 중 1위를 기록했다. 일각에선 트럼프정부의 공세 때문에 우리 외환당국의 손발이 묶인 영향으로 보는 분석이 나온다.


19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기준 한국 원화의 미국, 일본, 영국, 독일 등 주요 27개국 대비 실질실효환율지수(2010년 100 기준)는 122.34로 작년 말(118.53)에 비해 3.2% 상승해 절상률 1위를 기록했다. 지난달 말 기준 지수는 2015년 5월(123.88) 이후 1년 9개월 만에 최고치다.

올 들어 27개국 중 14개국은 실질통화가치가 절상됐고 13개국은 절하됐다. 한국에 이어 호주 통화의 실질가치가 2.6% 올라 2위를 차지했고 스웨덴(2.3%), 멕시코(2.2%), 캐나다(2.0%) 등이 뒤를 이었다.


실질실효환율은 물가변동까지 반영된 교역상대국에 대한 각국 돈의 실질적 가치를 보여주는 지표로, 각국 수출상품의 가격경쟁력을 파악해 수출여건을 가늠하는 지렛대다. 100보다 높으면 기준연도보다 화폐 가치가 고평가됐고 낮으면 저평가됐다는 의미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캠페인 당시부터 "중국이 수출할 때 미국보다 유리하게끔 달러화 대비 위안화 가치를 떨어뜨리는 형태로 조작하고 있다"며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겠다"고 공표해왔다. 또한 미국 재무부도 환율보고서에서 한국, 중국, 일본, 독일, 대만, 스위스 등 6개국을 환율관찰대상국으로 지정했다.


이와 관련해 유일호 경제부총리는 "국내 외환시장에서 당국의 일방적인 개입은 없다"면서 평가에 신중을 기해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