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1년 준공된 대청댐은 일대를 변화시켰다. 길이 495m, 높이 72m의 커다란 수벽 때문에 사람과 문화재는 터전을 옮겨야 했다. 상당산성은 그 반대다. 4.2km 길이의 커다란 성벽이 성안 사람을 보호했다. 벽이 만든 삶의 변화, 그 흔적을 찾아가보자.

 

문의문화재단지와 대청호
문의문화재단지와 대청호

◆문의문화재단지

입구부터 눈이 확 트인다. 넓게 펼쳐진 대청호가 눈은 물론 마음까지 시원하게 열어준다. 이 아름다운 호수는 길이 80km, 저수량 15억톤에 이르는 국내 세번째 규모의 호수다. 대청호는 대청댐 건설로 만들어진 인공호수다. 대청댐이 1981년 준공됐으니 사람으로 치면 36세다. 철새와 텃새, 물과 나무와 풀이 어우러져 인공의 느낌을 찾기는 쉽지 않다. 자연 그 자체다. 이 일대는 충청북도의 유명한 드라이브 코스다. 대통령의 별장으로 유명한 청남대도 있다.


이곳에 호수가 생기기 전으로 돌아가보자. 큰 공사를 치르며 희생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마을이 수몰되고 5개 부락은 호수 좌우로 갈라졌다. 수많은 주민이 졸지에 고향을 잃었다. 조상 대대로 터잡고 살아온 4075세대 2만6000여명의 지역 주민이 신탄진, 대전, 경기도 남양 간척지 등으로 이주했다. 2015년 극심한 가뭄으로 수몰됐던 마을 터, 학교 터가 드러났을 때 이 고장 사람들이 그 광경을 어떻게 봤을지 여행자는 그 감회를 섣불리 짐작하기 어렵다.

문의문화재단지는 수몰된 지역의 귀한 문화재들을 옮겨 놓은 곳이다.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49호 문산관을 비롯해 양반가옥, 민가 등 10동의 고건물이 있고 고인돌, 장승, 연자방아, 성황당 등 옛 생활 모습을 엿볼 수 있는 자료가 많다.


대표적인 유적은 문산관이다. 문의현의 객사이자 충청북도의 유일한 객사인 문산관의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지만 지붕 암막새에 양각된 연대를 근거로 1728년(영조 4년)에 중수한 것으로 짐작한다. 다만 중앙 건물과 양쪽 건물의 재료와 건축 방법이 달라 건축 연대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 건물은 조선 중기 지방 관아 건축양식 연구의 귀중한 자료다. 대청댐 수몰지역에 있어 1979년 문의면으로 이전됐다가 1996년 이곳 문의문화재단지로 재이전됐다. 한자리에 가만히 있어도 보존이 어려웠을 문화재인데 몇번이나 옮겨졌으니 생명이 없는 건축물에서도 고단함이 느껴진다. 큰 볼거리라 느껴지지 않더라도 한번쯤 들르길 추천한다. 단지의 높은 곳에 자리 잡아 대청호의 전망을 제대로 볼 수 있어서다.


(위에서부터) 문산관, 여막, 문의문화재단지 조각공원.
(위에서부터) 문산관, 여막, 문의문화재단지 조각공원.

이밖에도 충청북도 문화재로 지정된 노현리 민가(제220호), 부강리 민가(제221호), 문산리 석교(제222호), 관정리 민가(민속자료 제 38호) 등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다. 비석거리에는 문의 지역의 비석들을 모아놓았고 양반가는 물론 토담집, 대장간, 저잣거리 등 서민들의 삶도 들여다 볼 수 있다.

무덤 옆에는 ‘여막’을 재현해놨다. 옛날 집이 즐비한 민속촌에서도 보기 힘든 여막은 묘소 옆에 지은 작은 집이다. 상주가 탈상할 때까지 거주하던 곳으로 옛 조상들은 이곳에 신주를 모시고 시묘 생활을 했다고 한다. 특별히 고 조병천의 뜻을 기리고자 했다는데 그는 강내면 연정리 한양 조씨 문중 사람이다. 그는 1957년 부친이 사망하자 묘소 옆에 여막을 짓고 3년 시묘 생활을 했다. 이후 묫자리 인근에 공장이 들어서자 묘소를 이장한 뒤 다시 3년의 시묘 생활을 했다.


이곳에는 빈집만 있는 게 아니다. 대장간에서는 쇠를 두드리는 소리가 들리고 민가에서는 어르신들이 모여 볏짚으로 짚신, 새장, 바구니 같은 것들을 만든다. 옹기전수관에는 충북 12호 무형문화재 박재환 옹이 있다. 유형문화재뿐 아니라 무형문화재도 만날 수 있어 친숙하지 않았던 ‘문화재단지’라는 이름에 수긍이 간다. 이곳에서 멋진 옹기 작품을 감상하고 체험프로그램에도 참여해보자. 공예체험관에서는 목걸이, 부채를 만들어 볼 수 있고 투호놀이, 연만들기, 굴렁쇠, 팽이치기 등 옛 전통놀이도 즐길 수 있다.

문의문화재단지 가장 안쪽에는 대청호미술관이 있다. 기획전시를 운영하는데 오는 4월17일까지 ‘우리 모두 나무!’라는 전시회가 열린다. 청주에 위치한 시각장애인 생활시설 광화원 소속 아동들이 참여한 독특한 전시회다. 시각 전시물을 시각장애인과 협업했다는 것 자체가 의미 있는 발상의 전환이다. 1전시실에는 ‘하나의 개체이자 전체가 하나의 숲’이라는 주제로 ‘춤추는 나무’라는 작품이 전시됐다. 매듭을 연결해 커다란 나무이자 숲을 표현한 작품이다. 2전시실에는 ‘광화원 아이들’, 3전시실에는 김유석 작가의 작품 ‘시선’이 전시돼 있다.


미술관 앞은 조각공원이다. 청원군 조각현상공모를 통해 입상한 작품 12점, 초대작가 작품 7점이 있고 미술관 앞쪽으로는 애국지사 조형물이 있다. 애국지사의 모습은 표현이 사실적이고 의미가 남달라 눈에 띈다. 충북 출신인 애국지사 신석구, 권병덕, 한봉수, 손병희, 신채호, 신규식, 신홍식 등의 동상과 일대기가 적혀 있다. 동상은 각 인물의 특징을 잘 표현했다. 신채호 선생은 <조선상고사>를 독서중이고, 손병희 선생은 민족대표 33인으로서 연설하는 장면을 담았다. 막대기를 들고 앞장 선 사람은 한봉수 선생으로 일제에 대항해 신출귀몰 유격전을 펼치고 1919년에는 만세운동을 주도한 인물이다. 아이와 함께 온다면 한명 한명의 동상을 관람하며 많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겠다.

다른 조각들은 분위기가 다양하다. 모던하고 초현실적인 작품이 있는가 하면 동화처럼 따뜻한 것도 있다. 파란 하늘, 청풍호와 어우러져 명품 뷰를 만든다.

◆상당산성

상당산성은 천년의 역사를 가졌다고 한다. 처음 축성된 시기는 백제시대로 추정된다. 조선 임진왜란 때(선조 29년) 개축했다가 숙종 때 석성으로 재개축했다. 동·서·남방 3개소에 성문이 있고 수직으로 굳게 세운 성벽의 높이가 4.7m로 방어에 최적화된 산성이다. 이곳은 서울을 방어하는 요충지로 약 3500명의 병력과 승군이 배치됐었다고 한다. 성내에는 3개의 사찰과 암문, 관아, 장대, 포루, 창고 등이 있었다. 드라마와 영화 촬영지로도 유명하다. <대조영>, <태왕사신기>, <카인과 아벨>, <임금님의 사건수첩> 등 역사극뿐 아니라 현대극도 이 일대에서 꾸준히 촬영된다.


(위에서부터) 애국지사조형물, 김시습시비.
(위에서부터) 애국지사조형물, 김시습시비.

성 안쪽과 남문 앞에 잔디밭이 있어 봄부터는 피크닉 명소이고 4.2km의 성 둘레는 청주 시민과 여행자들의 좋은 산책로가 된다. 성벽 길을 걷다 보면 정자가 하나 보인다. 이곳은 성을 지킬 때 지휘소로 사용하던 상당산성 동장대다. 여기서 성 바깥쪽을 보는 풍경이 좋아 잠시 쉬어가는 사람들을 종종 볼 수 있다. 성 안쪽으로는 토속음식마을이 있어 식사 후 가벼운 산책을 즐기는 사람들을 자주 만난다.

상당산성의 3개 문 중 대표성을 가진 것은 공남문이다. 주로 이곳에서 산성돌기를 시작하는데 오는 4월까지 복원공사가 진행된다. 공남문 앞에는 매월당 김시습이 산성을 돌아보고 남긴 시 <산성에서>가 새겨져 있다. 생육신이었던 김시습은 풍상을 겪으며 그 생각을 글로 풀어낸 조선 최초의 한문소설가였다. 그는 사육신들의 시신을 수습한 주인공으로 나중에 승려가 돼 9년 동안 전국을 방랑한다. 그의 인생사를 잠깐 들여다보는 것만으로도 그 여정이, 그 발걸음마다 감회가 얼마나 절실했을지 짐작할 수 있다. 그 심경을 헤아리며 시를 읽어 본다.

‘……
웅장도 하여라 아득히 펼쳐진 산하
의기도 드높구나 산성마루 높이 오르니
날이 저문들 대수랴 보고 또 본다네
……’

[여행 정보]

[대중교통으로 여행지 가는 법]
문의문화재단지: 청주시외버스터미널 - 311번 버스 승차 - 문의 정류장 하차

[주요 스팟 내비게이션 정보]
문의문화재단지: 검색어 ‘문의문화재단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대청호반로 721
상당산성: 검색어 ‘상당산성’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산성동 산 28-1

문의문화재단지
문의: 043-201-0915~6
http://www.cheongjutour.com/cheongjutour/tour/tour04
관람시간: 하절기(5~9월) 09:00~20:00 / 동절기(10~4월) 09:00~18:00
관람요금: 어른 1000원 / 청소년 및 군인 800원 / 어린이 500원
옹기체험: 5000원

대청호미술관
문의: 043-201-0911
http://www.cmoa.or.kr/daecheongho/index.do
우리모두나무 전
기간: 2017. 2. 9 ~ 2017. 4. 16

상당산성
문의: 043-201-0202

음식
상당집: 상당산성 일대는 묵무침이 유명하다. 이 집도 묵요리와 손두부가 유명하다. 청주 유명 맛집으로 시간에 따라 줄을 서야 할 때도 있다.
043-252-3291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성내로 118번길


☞ 본 기사는 <머니S>(www.moneys.news) 제481호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