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3주기인 16일 오후 경기 안산 세월호참사희생자정부합동분향소에서 열린 4·16 안전공원 건립을 위한 안산시민사회 기자회견에서 한 관계자가 현황보고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세월호 참사 3주기인 16일 오후 경기 안산 세월호참사희생자정부합동분향소에서 열린 4·16 안전공원 건립을 위한 안산시민사회 기자회견에서 한 관계자가 현황보고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안산 화랑유원지에 세월호 추모시설을 조성하기 위해 시민사회단체들이 나섰다.

안산지역 시민사회단체 70곳으로 구성된 4·16안산시민연대(이하 시민연대)는 세월호참사 3주기인 16일 안산시 정부합동분향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다음달 말까지 화랑유원지 4·16안전공원(가칭) 조성을 위한 서명운동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시민연대 회원 30여명은 "희생된 (단원고등학교) 아이들은 고향인 안산이 품어야 한다"며 "아이들이 자라고 뛰어 놀던 곳, 아름다운 꿈을 꾸었던 안산 화랑유원지에서 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민연대는 "일부 몇몇 사람은 안전공원이 납골당이라며 주변 집값이 떨어진다고 얘기하는데, 안전공원은 납골당이 아니다"며 "안전공원의 대부분은 시민들의 휴식공간,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된다. 안산시의 가치를 높일 것"이라고 했다.


시민연대는 안전공원 조성을 위해 홍보활동(전단지 배포·주민간담회 등)을 하고, 시민들의 서명이 담긴 요구서를 안산시장, 안산시의회 의장에게 전달하기로 했다.

또 다음달부터 화랑유원지 일대에서 매달 1차례 이상 시민문화제와 전시회를 열고, 4·16공원 시민공모 사업도 진행한다.


한편 국무조정실은 지난해 3월부터 '4·16세월호참사 피해지원 및 구제 등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추모시설 조성을 위한 기본용역을 진행하고 있으며, 안산시는 추모사업협의회(이하 추모협의회)를 통해 추모시설 장소·시설 등을 논의하고 있다.

유가족들은 화랑유원지 추모공원 조성을 요구하고 있으며, 추모협의회는 오는 6월까지 장소·시설 등을 정한 뒤 추모사업 계획안을 국무조정실에 제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