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자료사진=뉴시스
문재인 대통령. /자료사진=뉴시스

4차 산업혁명 정책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어제(10일) 공식취임한 문재인 대통령은 공공빅데이터센터 설립 등 4차 산업혁명을 위한 인프라 투자를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문 대통령은 선거운동 기간 동안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 위원회를 신설하겠다고 밝히는 등 관련 정책 추진에 적극성을 보여왔다. 이에 소관 부처들 역시 그동안 분산된 업무를 효율화해 빠르게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실제 신산업 민관협의회는 그동안 우리나라의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핵심기술 수준이 선진국에 비해 2년 정도 뒤떨어져 4차 산업혁명 대응이 늦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선거 유세 기간 "김대중·노무현 정부에서 벤처창업지원을 통해 벤처붐이 일면서 ICT산업의 경쟁력을 세계최고의 수준으로 끌어올렸다"며 4차 산업혁명을 정부가 주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문 대통령은 구체적인 계획으로 ▲공공빅데이터센터 설립 ▲국토공간정보 등 공공정보 무료제공을 통한 창업 지원 ▲소비자 친화적 서비스 경쟁 촉진을 위한 망 중립성 보장 등의 방안을 제안했다.

정부 관계자는 "그동안 4차 산업혁명 관련 업무가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 미래창조과학부 등으로 분산되면서 부처 간 칸막이가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융합을 내세우는 4차 산업혁명인 만큼 대통령 직속 위원회 출범으로 한발 더 빠른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