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 KT와 손잡고 맞춤형 정밀의료서비스 제공
허주열 기자
2,336
공유하기
국립암센터와 KT가 11일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국립암센터에서 ‘클라우드·빅데이터 기반 정밀의료분야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지난해 8월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로 선정된 정밀의료는 환자의 유전체, 진료·임상, 생활습관 정보 등을 통합 분석해 환자 특성에 맞는 진단 및 치료를 제공하는 의료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번 정밀의료분야 업무협약은 2012년 국내 최초로 클라우드 기술을 적용해 유전체 분석에 성공한 KT와 한국을 대표하는 암 전문기관인 국립암센터의 만남으로 주목된다.
KT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환자 유전체 정보 및 임상·유전 정보 등을 통합 관리하는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한다.
국립암센터는 진행성 주요 암환자에 대한 유전체 검사·분석을 통해 암환자 진단법과 치료제 개발에 집중한다.
나아가 KT와 국립암센터는 정밀의료분야의 공동연구 및 학술협력 그리고 클라우드 기반의 암 데이터센터 구축·운영, 정밀의료 실현을 위한 기술적 협력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이강현 국립암센터 원장은 “정밀의료는 암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고 질병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의료 패러다임”이라며 “이번 협약이 암 정복을 위해 한단계 나아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문환 KT기업사업부문장(부사장)은 “국가전략프로젝트의 하나인 정밀의료분야에서 국립암센터와 함께 자사의 클라우드 기술과 역량을 펼칠 수 있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의료분야 4차 산업혁명의 시발점이 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국립암센터와 협력 범위를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지난해 8월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로 선정된 정밀의료는 환자의 유전체, 진료·임상, 생활습관 정보 등을 통합 분석해 환자 특성에 맞는 진단 및 치료를 제공하는 의료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번 정밀의료분야 업무협약은 2012년 국내 최초로 클라우드 기술을 적용해 유전체 분석에 성공한 KT와 한국을 대표하는 암 전문기관인 국립암센터의 만남으로 주목된다.
![]() |
/사진=이미지투데이 |
KT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환자 유전체 정보 및 임상·유전 정보 등을 통합 관리하는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한다.
국립암센터는 진행성 주요 암환자에 대한 유전체 검사·분석을 통해 암환자 진단법과 치료제 개발에 집중한다.
나아가 KT와 국립암센터는 정밀의료분야의 공동연구 및 학술협력 그리고 클라우드 기반의 암 데이터센터 구축·운영, 정밀의료 실현을 위한 기술적 협력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이강현 국립암센터 원장은 “정밀의료는 암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고 질병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의료 패러다임”이라며 “이번 협약이 암 정복을 위해 한단계 나아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문환 KT기업사업부문장(부사장)은 “국가전략프로젝트의 하나인 정밀의료분야에서 국립암센터와 함께 자사의 클라우드 기술과 역량을 펼칠 수 있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의료분야 4차 산업혁명의 시발점이 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국립암센터와 협력 범위를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