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GV 일부 상영관 광고서버 랜섬웨어 감염… 피해 신고 기업 5곳
박효선 기자
3,071
공유하기
![]() |
지난 14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인터넷침해 대응센터 종합상황실에서 직원이 대규모 랜섬웨어 공격과 관련해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사진=뉴스1 구윤성 기자 |
15일 보안업계에 따르면 이날 새벽 CGV 일부 상영관 스크린에서 랜섬웨어에 감염된 것으로 보이는 화면이 나타났다. 영화 상영 전 광고 화면에 워너크라이 랜섬웨어에 감염됐으니 비트코인을 지불하라는 랜섬노트가 등장한 것.
현재 영화 상영은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CGV는 정확한 피해상황을 파악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랜섬웨어는 중요 파일을 암호화한 뒤 이를 푸는 대가로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 프로그램이다. 지난 12일 유럽을 중심으로 퍼지고 있는 대규모 랜섬웨어 공격은 전 세계 약 150개국에서 20만대의 컴퓨터를 감염시켰다.
특히 워너크라이 랜섬웨어는 마이크로소프트(MS) 윈도 OS의 SMB(Server Message Block: 파일·장치를 공유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 취약점을 이용해 전파되고 있다. 취약한 컴퓨터는 부팅 시 감염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에 윈도 보안패치가 설치되지 않았을 경우 추가 감염피해를 막으려면 컴퓨터 부팅 전 인터넷 연결을 차단하고, SMB 포트를 차단한 후(프로토콜 비활성화), 인터넷에 연결해 윈도 보안패치 및 백신 업데이트 등을 진행할 것을 권한다.
앞서 지난 14일 정부는 기관 및 기업들의 근무가 본격 시작되는 이날(월요일)부터 사이버 피해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국가 사이버 위기 경보를 '관심'에서 '주의'로 한 단계 올렸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윈도 OS 취약점을 이용한 랜섬웨어의 국내 피해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기업·기관 등에 이날 근무 전 대비할 수 있는 대국민 행동요령을 권고했다.
한편 이날 오전 8시30분까지 워너크라이에 감염됐다고 문의한 국내 기업은 총 8곳으로 이 중 5곳은 정식으로 피해신고를 하고 기술 지원을 받기로 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