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일본 특사와 대담 "위안부 합의 국민이 못 받아들인다"
장영락 기자
3,175
공유하기
![]() |
아베 신조 일본 총리 특사로 온 니카이 도시히로 자민당 간사장(왼쪽)이 12일 오후 청와대 접견실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대담을 나누고 있다. /사진=뉴시스 |
문재인 대통령이 일본 특사에게 "위안부 합의 문제를 우리 국민들이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뜻을 전했다. 12일 문 대통령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 특사인 니카이 도시히로 자민당 간사장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열어 문 대통령과 니카이 특사의 회담 내용을 전했다. 문 대통령은 "총리께서 위안부 합의 문제에 대해서도 친서에 담아주셨는데 이 문제를 한국 국민이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이 솔직한 현실"이라고 말했다. 또 "무엇보다 당사자인 위안부 할머니들께서 이 문제를 받아들이지 않고 계시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문 대통령은 "이 점을 한일 양국이 직시할 필요가 있고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단 것을 함께 인식해야 한다. 다만 양국이 그 문제에 매달려 다른 문제의 발전을 가로막는 길로 나가선 안된다. 역사 문제는 역사 문제대로 지혜를 모아 해결하고 다른 문제는 그 것대로 발전시켜야 한다. 아베 총리에게 이 말씀을 꼭 전해달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또 "한일관계를 불편하게 하고 발목 잡는 것이 역사 문제다. 이는 단숨에 해결되리라 생각하지 않는다. 다만 일본이 한국 국민 정서를 헤아리려는 노력이 중요하고 양국이 지혜를 모아 개선해가면 양국관계가 더 빠르게 발전할 것"이라 밝혔다.
이에 니카이 특사는 "이에 공감한다. 함께 노력하자. 자민당이 일본 의회에서 의석 과반 이상을 차지하는 만큼 대통령과 나눈 이야기가 실현될 수 있도록 책임있게 노력해나가겠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회담에서는 북핵 문제에 대한 언급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아베 총리의 친서에서 북한 비핵화가 언급된 점을 지적하면서 "북한 비핵화는 세계와 동북아의 평화 그리고 한국의 생존을 위해 꼭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한국과 일본은 같은 입장"이라고 밝혔다.
다만 "북한의 완전한 핵폐기를 위해 더 강한 압박과 제재가 필요하다는 총리 말씀에 공감한다. 그러나 압박과 제재만으로 끝날 것이 아니기 때문에 북한을 대화의 테이블로 끌어내야 완전한 핵폐기에 이를 수 있다"며 북한과의 대화를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한편으로는 강력한 압박과 제재를 가해야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한다면 함께 도울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할 필요가 있다. 다만 북핵 상황의 전개에 대해 미국·일본과 긴밀히 협의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양국 상호 관계 발전에 대한 평가도 내놨다. 그는 "어려움이 있지만 양국 관계는 발전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 구체적 사례가 양국을 상호 방문하는 국민 숫자가 700만명을 넘어서고 있다는 점이다. 사상 최고 숫자다. 일본을 방문하는 한국 국민 숫자가 두 배 이상 많으니 일본 국민이 한국을 더 많이 방문해주길 희망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