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급여, 골프장캐디·학습지교사 등 지급 대상 확대… 지급액도 인상
김나현 기자
4,954
공유하기
![]() |
실업급여. 박광온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대변인이 지난 5월22일 서울 종로구 금융감독원 연수원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골프장캐디, 학습지교사 등 특수형태근로종사자와 예술인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고용보험 가입이 허용된다.
지급액은 이직 전 임금의 50%에서 60%로 인상하고, 지급 기간은 30일 연장해 최장 9개월까지 지급하기로 했다.
국정기획자문위원회는 12일 이같은 내용의 '고용안전망 사각지대 해소 방안'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특수형태근로종사자 중 산재보험 적용 대상 직종 9개부터 적용한다. 보험설계사, 골프장캐디, 택배기사, 학습지교사 등 약 50여만명이 대상이다. 이들 직종의 종사자는 다음해 상반기 고용보험법을 개정해 고용보험가입을 의무적으로 해야 한다.
예술인은 2019년부터 본인이 희망하는 경우 고용보험 가입을 허용한다. 한국예술인복지재단에 등록된 예술인 4만2204명(지난달 기준)이 대상이다.
고용보험에 쉽게 가입할 수 있도록 요건도 완화한다. 현재 65세 이상은 가입을 제한하고 있지만 동일 장소에서 계속 일하면서 사업주가 바뀌어 신규 채용된 경우 가입을 허용한다.
자영업자는 창업 후 5년 이내까지 고용보험에 가입할 수 있도록 올해 하반기 보험료징수법 시행령을 개정할 계획이다. 현재는 창업 후 1년 이내에 가입해야 한다. 시행령이 개정되면 자영업자 1만6382명(지난 5월 말 기준)이 가입할 수 있게 된다.
실업급여가 실질적으로 생계에 도움이 되도록 지급액과 지급 기간을 단계적으로 개선한다. 이직 전 임금의 50%에서60%로 인상하고, 지급 기간도 30일 연장해 최장 9개월까지 지급하기로 했다. 다만 노사가 부담하는 고용보험료율과 맞물려 있어 고용보험위원회에서 사회적 논의를 거쳐 법 개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또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실업전 18개월 동안 유급근로일이 180일 이상이어야 하지만 18개월 기준을 더 확대할 예정이다. 단시간 근로하는 사람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장기실직 중인 자발적 이직자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연구용역도 실시하기로 했다.
건설일용직근로자들도 국민연금 사업장 가입을 할 수 있도록 가입 조건을 완화한다. 월 20일 이상 근무에서 월 8일 이상 근무로 변경해 다음해 하반기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건설일용직근로자는 약 130만명에 달하는데 국민연금 가입률은 20.9%에 불과하다.
국정기획위는 "고용형태의 다양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노동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고용 안전망이 중요하다"며 "실직자에게 적정한 도움이 될수 있는 실업급여 개선을 위해 관계 부처가 대책 마련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
국정기획자문위원회는 12일 이같은 내용의 '고용안전망 사각지대 해소 방안'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특수형태근로종사자 중 산재보험 적용 대상 직종 9개부터 적용한다. 보험설계사, 골프장캐디, 택배기사, 학습지교사 등 약 50여만명이 대상이다. 이들 직종의 종사자는 다음해 상반기 고용보험법을 개정해 고용보험가입을 의무적으로 해야 한다.
예술인은 2019년부터 본인이 희망하는 경우 고용보험 가입을 허용한다. 한국예술인복지재단에 등록된 예술인 4만2204명(지난달 기준)이 대상이다.
고용보험에 쉽게 가입할 수 있도록 요건도 완화한다. 현재 65세 이상은 가입을 제한하고 있지만 동일 장소에서 계속 일하면서 사업주가 바뀌어 신규 채용된 경우 가입을 허용한다.
자영업자는 창업 후 5년 이내까지 고용보험에 가입할 수 있도록 올해 하반기 보험료징수법 시행령을 개정할 계획이다. 현재는 창업 후 1년 이내에 가입해야 한다. 시행령이 개정되면 자영업자 1만6382명(지난 5월 말 기준)이 가입할 수 있게 된다.
실업급여가 실질적으로 생계에 도움이 되도록 지급액과 지급 기간을 단계적으로 개선한다. 이직 전 임금의 50%에서60%로 인상하고, 지급 기간도 30일 연장해 최장 9개월까지 지급하기로 했다. 다만 노사가 부담하는 고용보험료율과 맞물려 있어 고용보험위원회에서 사회적 논의를 거쳐 법 개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또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실업전 18개월 동안 유급근로일이 180일 이상이어야 하지만 18개월 기준을 더 확대할 예정이다. 단시간 근로하는 사람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장기실직 중인 자발적 이직자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연구용역도 실시하기로 했다.
건설일용직근로자들도 국민연금 사업장 가입을 할 수 있도록 가입 조건을 완화한다. 월 20일 이상 근무에서 월 8일 이상 근무로 변경해 다음해 하반기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건설일용직근로자는 약 130만명에 달하는데 국민연금 가입률은 20.9%에 불과하다.
국정기획위는 "고용형태의 다양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노동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고용 안전망이 중요하다"며 "실직자에게 적정한 도움이 될수 있는 실업급여 개선을 위해 관계 부처가 대책 마련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