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광장] '창의적인 사람'이란
조장현 HSG 휴먼솔루션그룹 소장
5,743
공유하기
어떻게 하면 창의적인 사람이 될 수 있을까. 우선 창의성의 개념부터 확실히 하자. 직장에서 필요한 창의성은 예술과 다른 ‘비즈니스 창의력’이다. 이런 비즈니스 창의력은 꾸준히 노력하면 누구나 기를 수 있는 능력이다.
세상에 없던 무언가를 만들기보다 지금 하는 일을 조금 다른 방식으로 하는 것. 이를 통해 보다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것이 비즈니스 창의력이다. 새로운 고객관리시스템을 개발하거나 신제품 프로모션을 기획해 가망고객을 설명회에 참여시키는 것, 꼬박 3일 걸리던 영업 마감 프로세스를 하루로 단축하는 작업 등이 있겠다.
창의력은 어떻게 강화할 수 있을까. 그 핵심은 호기심이다. 하늘 아래 완전히 새로운 생각은 없다. 대부분은 누군가 이미 실행한 아이디어거나 떠올리긴 했지만 여건상 실행하지 못한 아이디어다. 이런 오래된 아이디어를 생각해내기 위해 시간, 공간, 인간이라는 세가지 축으로 관점을 이동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먼저 시간. 현재가 아닌 다른 시기에 대한 호기심을 발동시키자. 앞서간 시장에서 다른 기업이 어떻게 대응했는지, 누가 성공했고 누가 망했는지 나의 상황과 비교 분석하면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2년 후, 5년 후 사회변화를 예측해 이런 시대변화가 자신의 과제에 어떻게 적용될지 고민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
다음으로 공간. 내가 속한 산업군이 아닌 다른 산업군의 움직임을 항상 호기심을 갖고 살펴보자. 내가 20대 여성을 위한 화장품을 만드는 회사에 근무한다고 해서 화장품산업만 본다면 틀을 깨는 아이디어를 얻기 힘들다. 전자제품 회사는 20대 여성에 대해 뭐라고 말하는지, 뮤지컬 공연 기획사는 20대 여성에게 어떤 차별적인 가치를 제공해 성공했는지 살펴봐야 한다.
마지막으로 인간. 내가 지금 고민하는 20대 여성만 보지 말고 다른 대상을 살펴보자. 20대 여성이 되고 싶은 30대 커리어우먼의 라이프스타일과 가치관을 들여다보면 원래 타깃인 20대 여성의 니즈를 더욱 깊게 이해할 수 있다.
호기심을 갖고 관점을 바꾸면 아이디어가 떠오른다. 이렇게 하면 결국 내 문제, 즉 20대 여성에게 어떻게 하면 더 많은 화장품을 팔 수 있을까를 해결할 수 있다.
경력을 쌓는다고 창의력이 길러지는 건 아니다. 호기심의 가속페달을 밟아 시간축, 공간축, 인간축으로 이동하라. 이것을 꾸준하고 집요하게 실천해 습관으로 만들라. 언젠가 창의적인 사람이라는 개인 브랜드가 형성될 것이다.
☞ 본 기사는 <머니S> 제498호(2017년 7월26일~8월1일)에 실린 기사입니다.
세상에 없던 무언가를 만들기보다 지금 하는 일을 조금 다른 방식으로 하는 것. 이를 통해 보다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것이 비즈니스 창의력이다. 새로운 고객관리시스템을 개발하거나 신제품 프로모션을 기획해 가망고객을 설명회에 참여시키는 것, 꼬박 3일 걸리던 영업 마감 프로세스를 하루로 단축하는 작업 등이 있겠다.
창의력은 어떻게 강화할 수 있을까. 그 핵심은 호기심이다. 하늘 아래 완전히 새로운 생각은 없다. 대부분은 누군가 이미 실행한 아이디어거나 떠올리긴 했지만 여건상 실행하지 못한 아이디어다. 이런 오래된 아이디어를 생각해내기 위해 시간, 공간, 인간이라는 세가지 축으로 관점을 이동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먼저 시간. 현재가 아닌 다른 시기에 대한 호기심을 발동시키자. 앞서간 시장에서 다른 기업이 어떻게 대응했는지, 누가 성공했고 누가 망했는지 나의 상황과 비교 분석하면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2년 후, 5년 후 사회변화를 예측해 이런 시대변화가 자신의 과제에 어떻게 적용될지 고민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
다음으로 공간. 내가 속한 산업군이 아닌 다른 산업군의 움직임을 항상 호기심을 갖고 살펴보자. 내가 20대 여성을 위한 화장품을 만드는 회사에 근무한다고 해서 화장품산업만 본다면 틀을 깨는 아이디어를 얻기 힘들다. 전자제품 회사는 20대 여성에 대해 뭐라고 말하는지, 뮤지컬 공연 기획사는 20대 여성에게 어떤 차별적인 가치를 제공해 성공했는지 살펴봐야 한다.
마지막으로 인간. 내가 지금 고민하는 20대 여성만 보지 말고 다른 대상을 살펴보자. 20대 여성이 되고 싶은 30대 커리어우먼의 라이프스타일과 가치관을 들여다보면 원래 타깃인 20대 여성의 니즈를 더욱 깊게 이해할 수 있다.
호기심을 갖고 관점을 바꾸면 아이디어가 떠오른다. 이렇게 하면 결국 내 문제, 즉 20대 여성에게 어떻게 하면 더 많은 화장품을 팔 수 있을까를 해결할 수 있다.
경력을 쌓는다고 창의력이 길러지는 건 아니다. 호기심의 가속페달을 밟아 시간축, 공간축, 인간축으로 이동하라. 이것을 꾸준하고 집요하게 실천해 습관으로 만들라. 언젠가 창의적인 사람이라는 개인 브랜드가 형성될 것이다.
☞ 본 기사는 <머니S> 제498호(2017년 7월26일~8월1일)에 실린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