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1DB
사진=뉴스1DB
10대그룹 상장사의 수출이 올해 1분기 증가세로 돌아섰다. 전자와 화학 업종 등이 수출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반면 조선업 등은 수출 감소세를 면치 못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0대그룹 비금융 상장사 47개 기업의 2013~2017년 1분기 수출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한경연에 따르면 10대 그룹 상장사의 수출(연결기준)은 2013년 571조원에서 2016년 542조8000억원으로 약 28조2000억원 감소했다. 이에 반해 올해 1분기에는 지난해 동기 대비 4.8% 증가한 134조1000억원의 수출액을 달성했다.

올 1분기 10대그룹 상장사 수출 증가는 일부 업종이 이끌었다는 분석이다. 업종별 수출 기여율을 보면 전자가 65.3%로 가장 높았고 ▲철강·금속 24.0% ▲화학 21.0% ▲도소매 18.6% ▲전기장비 10.1% ▲자동차 9.9% 등의 순이었다.


한편 5개 부문으로 크게 나눈 5대 업종별 수출은 명암이 갈렸다. 화학(24.0%), 철강(15.7%), 전자(6.0%) 기업의 수출이 크게 증가한 반면 조선(-12.5%)의 경우 감소세를 이어갔다.

한경연은 이처럼 1분기 10대그룹 상장사 수출이 증가했지만 하반기 수출은 상대적으로 부진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1분기 수출물량이 4.3% 증가한데 반해 수출단가는 10.0% 상승하는 등 물량효과보다 가격효과가 더 컸다는 분석으로, 수출단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유가 등이 약세로 전환할 경우 수출 역시 감소할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한경연은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경기가 회복되면서 2017년 1분기 수출이 증가했지만 각국의 보호무역조치 강화와 한미FTA 재협상 등으로 통상환경이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수출친화적 환경 조성 및 근본적인 경쟁력 확보로 현재의 수출 추세를 이어가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