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사병 소뇌손상. /자료사진=임한별 기자
열사병 소뇌손상. /자료사진=임한별 기자

열사병이 지연성 소뇌 손상으로 어지럼증을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확인했다.

김지수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팀은 7일 열사병 환자 진료를 통해 열사병이 발현된 뒤 나타나는 장기적 증상과 질환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열사병은 과도하게 높은 온도의 환경에 노출됐지만, 신체에서 발생한 열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을 때 발생하는 질환이다. 경미한 탈진, 두통, 어지럼증에서부터 다발성 장기 손상, 중추신경 기능이상까지 다양한 증세를 보일 수 있으며 심하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또한 열사병으로 인해 신체의 심부 온도가 40도를 넘을 경우는 우리 몸의 온도 조절 기능이 소실돼 심각한 수준의 장기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열, 의식장애, 덥고 건조한 피부와 같은 열사병의 급성기 증상들과 발병 기전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었지만, 급성기 증상들이 회복된 뒤 발생하는 장기적 합병증이나 질환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지나가거나 간과하는 경향이 있었다.

김 교수팀은 이에 열사병 환자 진료를 통해 열사병이 발현된 뒤 나타나는 장기적 증상과 질환을 확인해 그 원인에 대해 확인하고자 환자 케이스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증상이 경미한 열사병의 경우에도 초기 증상이 회복된 뒤 일주일 정도 지난 시점에 어지럼증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


아울러 연구팀은 전정 기능 검사를 통해 어지럼증이 발생하게 된 원인이 지연성 소뇌 손상이라는 사실을 규명했다. 실제로 열사병으로 인해 뇌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의식 수준 저하나 이상 행동 및 판단력 저하를 보이거나 심하면 혼수상태에 빠질 수 있다.

특히 소뇌의 기능 이상이 제일 먼저 나타날 수 있는데 몸의 중심을 잡지 못하거나 손발을 정밀하게 움직이지 못하고 떨리듯 움직이는 현상을 보일 수 있다.


김 교수는 "열사병 환자가 발생한 경우 우선은 체온을 빠른 시간 내에 떨어뜨려야 심각한 뇌 손상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응급처치가 매우 중요하다"며 "이에 더해 열사병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어지럼증 증상을 간과하고 넘어갈 것이 아니라 정밀한 검사 및 평가를 통해 소뇌의 평형기능에 이상은 없는지, 지연성 뇌 손상이 발생하지는 않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분당서울대병원 김지수 교수(책임저자), 고대안산병원 정일억 교수(1저자), 부산대학교병원 최서영 교수(공동저자) 등 어지럼증 전문의들의 협동연구로 이뤄졌고, 신경학 분야 저명 학술지 '신경학저널'(Journal of Neurology)에 게재됐다.